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한국누정301> 광주 양과동정(良瓜洞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이장동 166-1 건립시기 : 조선 중기(1600년대) 추정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양과동정(良과洞亭)은 양과동 마을 동산 위에 자리잡고 있다. 이 정자의 건립연대는 정확히 알 수가 없으나 정자의 현판을 우암 송시열(1607~1689)이 쓴 것으로 보아 1600 년대 중반께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이 정자는 이 지역 선비들이 향촌의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향약을 시행했던 곳이다. 또한 이곳에서 선비들이 임금에게 올릴 상소를 논의하고 간관이 많이 배출되어 간원대(諫院臺)라고도 불린다. 정자의 구조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고, 옆에서 보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이다. 정자의 현판 글씨는 조선 후기의 문신인 우암 송시열이 .. 더보기
[NIJD Photo] 4월의 한성cc 240426 때 : 2024년 4월 26일곳 : 용인 한성컨트리클럽 더보기
<한국누정300> 광주 부용정(芙蓉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건립시기 : 조선 태종 12년(1412)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부용정(芙蓉亭)은 부용 김문발(芙蓉 金文發, 1359~1418)이 세운 정자이다. 김문발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한 인물로 경기.충청.경상.전라 4개도의 수군도절제사와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하였으며 왜적을 물리친 공이 크다. 잠시 관직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1411~1412) 칠석동에 부용정을 짓고, 향민과 함께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 사회의 공동체 결속과 풍속 교화에 힘썼다. 부용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 시행지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광주 향약의 유래가 되었다. 부용정의 구조는 정면과 측면이 세 칸으로 같고, 측면에서 보면 사람 인(.. 더보기
<한국누정299> 광주 호가정(浩歌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3년(1558), 고종 8년(1871) 재건축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호가정 입구에는 호가정이 광주.전남 8대정자 선정 위원회에서 4번 째 정자로 선정되었음을 알려주는 간판과 호가정 이야기 간판이 있어 호가정의 대략적인 내력을 알 수 있으나, 호가정의 보수공사로 인해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다행히 공사가 마무리 단계여서 관계자의 허락을 받아 정자에 오를 수 있었다. 호가정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좌우에 정자의 주인공 설강 유사 선생의 시비가 서있다. 호가정(浩歌亭)은 조선시대에 설강 유사(雪江 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로,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소강절이.. 더보기
<한국누정298> 광주 만취정(晩翠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본촌길 29 (동호동) 건립시기 : 1913년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만취정(晩翠亭)은 조선 말 우국지사인 만취 심원표(晩翠 沈遠杓, 1853~1939)가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1913년에 지은 정자이다. 심원표는 이 곳 동호동에서 태어났으며 만취는 그의 호이다. 젊어서는 기정진, 중년에는 송병순에게 공부하였으며, 기우만, 오준선 등과 교유하였다. 그는 나라가 기울어져 가는 상황에서도 마음을 굳게 지키며 의병들을 돕다가 일제에 곤욕을 치르기도 하였다. 만취가 '추운 겨울에도 푸른빛을 잃지 않는 소나무의 높은 절개를 이르는 말'이라고 기우만은 설명하였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1칸에 전후퇴가 있고, 가운데에 온돌방을 배.. 더보기
<한국누정297> 광주 풍영정(風詠亭) 240401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 (신창동)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5년(1560)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1일, 맑음 풍영정(風詠亭)은 조선시대 승문원판교를 지낸 김언거(金彦거, 1503~1584)가 벼슬을 물러난 뒤 고향에 돌아와 지은 정자로 1948년에 후손들이 지붕을 수리하였다. '풍영'이라는 이름은 자연을 즐기며 시가를 읊조린다는 뜻으로, 논어에서 따온 말이다. 김언거는 자는 계진(季殄) 호는 칠계(漆溪)이고, 중종 20년(1525)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명종 15년(1560) 승문원판교를 끝으로 고향에 내려왔다. 풍영정에서 지내면서 김인후.이황 등의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다. 풍영정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로.. 더보기
[NIJD Photo] 화순 세량지 240404 때 : 2024년 4월 4일, 흐림 곳 : 전남 화순 세량지 산벚꽃이 개화되지 않아 아쉽네요. 더보기
[NIJD Photo] 세량지 습지원 240404 때 : 2024년 4월 4일, 흐림 곳 : 전남 화순 세량지습지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