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만주바람꽃

학명 : Isopyrum manshuricum (Kom.) Kom.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만주바람꽃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덧없는 사랑

분포지 : 우리나라 중부이북과 중국의 동북부지역 및 우수리강 유역 - 처음 발견된 지역의 이름을 따서 만주바람꽃이라 이름 붙였다.

바람꽃은 한 꽃대에서 한 송이의 꽃만 피는데 만주바람꽃은 꽃대가 갈라져 여러송이의 꽃이 같이 핀다.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밑부분이 백색 막질로서 넓으며 2회 3출이고 소엽은 어린 `개구리발톱` 잎과 닮았다. 경생엽은 2-3개이고 짧은 엽병끝에서 3개로 갈라지며 엽병밑에 둥근 포가 2장 있고 소엽은 소엽병이 있으며 1-2회 3출엽이고 갈라지며 최종열편은 끝이 둔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은 분백색으로서 백색의 짧고 연한 털이 다소 있다. 탁엽은 막질이고 엽병보다 길며 난형으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파상이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긴 화경이 있고 줄기의 윗부분의 엽액에 지름 1.5cm가량의 꽃이 1송이씩 달린다. 꽃받침은 꽃잎모양이고 5장이며 긴 난형이고 길이 7mm이다. 수술은 30여개이고 길이 9mm이며 꽃밥은 길이 1.6mm이고 2개의 암술은 윗부분이 퉁퉁하며 약간 굽었고 밀선판은 반 쌈지모양이며 난형이고 길이 4.5mm이다.

줄기 : 높이가 20cm에 달한다. 원줄기 밑부분에 백색 막질의 비늘같은 조각이 있고 백색의 연한 털이 다소 많이 있다.

 

 

1. 천마산 만주바람꽃 (촬영일자 : 2015년 4월 4일)

 

 

 

 

 

 

 

 

 

 

 

만주바람꽃  (운길산 2016년 3월 26일 촬영)

 

 

 

 

 

 

 

 

 

 

 

 

만주바람꽃  (천마산 2016년 3월 30일 촬영)

 

 

 

 

 

 

 

 

 

 

만주바람꽃 (경기도 운길산 2017년 4월 8일 촬영)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꽃  (0) 2015.04.23
금붓꽃  (0) 2015.04.22
나도바람꽃  (0) 2015.04.21
꿩의바람꽃  (0) 2015.04.21
산괴불주머니  (0) 2015.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