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맥문동 학명 : Liriope platyphylla F.T.Wang & T.Tang 분류 : 백합과 맥문동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넓은잎맥문동, 알꽃맥문동 꽃말 : 겸손, 인내 유사종 : 개맥문동, 소엽맥문동 원산지 : 아시아 잎 : 잎은 짙은 녹색이며 밑에서 총생하고 길이 30-50cm 폭 8-12m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지기도 하며 11-15개의 세로맥이 있고 밑부분이 가늘어져서 엽병 비슷하게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30-50cm 이고 꽃이 3-5개씩 마디마다 모여 달리며 총상화서는 길이 8-12cm이다. 소화경은 길이 2-5mm이고 꽃 밑부분 또는 중앙 윗부분에 관절이 있으며 화피열편은 6개이고 길이 4mm로서 연한 자주색이다. 수술은 6개이고 수술대는 구불구불하며 암술대는.. 더보기
일월비비추 학명 : Hosta capitata (Koidz.) Nakai 분류 : 백합과 비비추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방울비비추, 비녀비비추, 산지보 꽃말 : 신비한 사랑 원산지 : 한국 분포 : 전국 개화기 : 8~9월 꽃색깔 : 자주색 잎 : 잎은 넓은 난형이고 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10-16cm 폭 5-7.7cm로서 가장자리가 파상이고 엽병은 길며 밑부분에 자주색 점이 있다. 꽃 : 잎 중앙에서 길이 50-60cm의 화경(花莖)이 자라 그 끝에 꽃이 달리고 포는 길이 2cm로서 타원형이며 자줏빛이 돌고 예두이며 소화경은 길이 4-6m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길이 4.5-5cm로서 자줏빛이 돌며 길이 3.5cm정도의 화서에 옆을 향해 배게 달리고 꽃과 꽃 사이의 간격이 좁아 두상으로 달린 것 같다... 더보기
요강나물 학명 : Clematis fusca var. coreana (H.Lev. & Vaniot) Nakai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반관목 이명 : 선종덩굴 꽃말 : 깨끗한 마음 원산지 : 한국 특징 :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물 분포 : 설악산 이북 높은 지대에서 자란다. 잎 : 잎은 대생 하며 3개의 소엽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단엽으로서 깊게 3개로 갈라져 단풍잎처럼 되는 것도 있고 양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줄기 끝에 1개씩 밑을 향해 달리며 화피에 흑갈색 털이 밀포한다. 줄기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 선다. 열매 : 열매는 도란형으로서 표면에 갈색 털이 있고 암술대가 달려 있으며 암술대는 갈색의 우상모(羽狀毛)로 덮여 있고 길이 3cm 정도이며 9월.. 더보기
국수나무 학명 : Stephanandra incisa (Thunb.) Zabel var. incisa 분류 : 장미과 국수나무속 낙엽활엽관목 이명 : 거렁방이나무, 고광나무, 뱁새더울 꽃말 : 모정 원산지 : 한국 특징 : 줄기의 골속이 국수와 같다 하여 국수나무라 한다. 맹아력이 왕성하며 수세가 강건하여 제반 입지에 대한 적응성이 뛰어나다. 잎 : 잎은 호생하고 넓은 난형이며 점첨두 또는 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며 길이 2-5cm로서 가장자리에는 결각상 톱니가 있고 잎 표면에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3-10cm이다. 탁엽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다 꽃 : 꽃은 5-6월 새가지 끝에 길이 2-6c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많은 소화가 달리고 소화경에는 털이 있고 길이 .. 더보기
불두화 학명 :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 분류 : 인동과 산분꽃나무속 낙엽지는작은키나무 이명 : 수국백당나무, 큰접시꽃나무 꽃말 : 은혜, 베품 꽃색 : 붉은 빛을 띠는 녹색, 회흑색 크기 : 높이 3~6m 분포 : 한국·일본·중국·만주·아무르·우수리 등지 특징 : 둥근형태의 꽃 모양이 부처님 머리모양을 닮았다 하여 불두화라 하였다. 순백으로 피어 풍성한 불두화를 화병에 꽂아 들여놓으면 집안 전체가 환해지는 느낌이 든다. 정원수로 쓰이며 열매를 맺지 않는 상징적 의미 때문인지 사찰에 많이 심겨져 있다. 꽃이 공처럼 아름다워 꽃꽂이용 소재로도 종종 이용된다. 불두화 (과천 야생화자연학습장 2020년 5월 8일 촬영) 불두화 (과천 야생화자연학습장 2020년.. 더보기
말발도리 학명 : Deutzia parviflora Bunge 분류 : 범의귀과 말발도리속 낙엽활엽관목 이명 : 말발도리나무, 속리말발도리, 태백말발도리, 털말발도리 꽃말 : 애교 원산지 : 한국 분포 : 세계적으로 60종이 분포하는데, 히말라야로부터 아시아 동부에 이르기까지 자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빈도리, 만첩빈도리, 애기말발도리, 둥근잎말발도리, 말발도리, 물참대,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등 10여 종(변종)이 자생한다. 잎 : 잎은 대생하며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 예저로서 길이 3-6cm 폭 2-4cm이지만 맹아의 경우 길이가 10cm나 되는 것도 있으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녹색으로 5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어린 가지의 엽병도 길이 3-12m.. 더보기
정향풀 학명 : Amsonia elliptica (Thunb.) Roem. & Schult. 분류 : 협죽도과(Apocynaceae) 정향풀속(Amsonia) 여러해살이풀 이명 : 수감초 꽃말 : 첫사랑 원산지 : 한국 분포 : 전라 남도 완도 대청도 황해도 구월산 생육환경 : 해안의 모래땅이나 들의 풀밭에 난다. 특징 : 정향(丁香)풀이란 꽃핀 모양이 정자(丁字)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정자초(丁字草)에서 유래되었다. 잎 :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에서는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 6~10cm 나비 1-2cm로서 끝이 뾰족하고 짙은 녹색이며 엽병이 거의 없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지름 13mm로서 줄기 끝에 정생하는 취산화서로 달리고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1-2mm로서.. 더보기
삼지구엽초 학명 : Epimedium koreanum Nakai 분류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삼지구엽초속(Epimedium) 여러해살이풀 이명 : 음양각 꽃말 : 당신을 붙잡아두다. 원산지 : 한국 분포 : 중부 이북 지역에 분포한다. 특징 : ▶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 라고 한다. 이 식물은 물에 넣어 끓이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지는 특성이 있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6) 잎 :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에 1-2개의 잎이 호생하고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5-13.5cm 폭1.5-7.2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같은 잔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꽃 : 꽃은 4-5월에 피고 황백..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