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주시

<한국누정025> 광주 백인대(百仞臺) 220321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광여로 200-38(열미리 산174) 건립시대 : 조선후기 소유자 : 능성구씨 관선재공 문중 촬영 일자 : 2022년 3월21일, 흐림 백인대(百仞臺)는 일명 육각정 또는 육일정으로도 불리우고 있다. 아마도 정자의 모형이 육각정으로 되어있어 그리되었을 것이다. 백인대는 열미리 앞을 흐르는 열미천 앞산을 배경으로 백여척의 절묘한 암벽이 천연적으로 정자터를 이룬 곳에 위치하고 있다. 열미천의 물줄기가 암벽밑을 감아돌아 자연적으로 큰 웅덩이가 되어 있어 옛부터 시인묵객이 즐겨찾는 낚시터였다고 한다. 별도의 진입로가 없어 바지를 벗고 맨발로 하천을 건너야 했다. 백인대를 오르는 길은 자연석으로 돌계단을 만들었으나 가파른 곳이었다. 암벽위는 사방 5*5m정도의 대로 되어있고 이 .. 더보기
<한국누정024> 광주 남한산성 지수당(地水堂)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24-1, 남한산성 내 문화재 지정 :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호(1983.9.19 지정) 건립 시기 : 조선 현종 13년(1672) 건물 규모 및 구조 : 정면 3칸, 측면 3칸, 팔작지붕 목조 와가 지수당은 행궁에서 동문으로 가는 길가에 위치하고 있다. 지수당(地水堂)은 1672년(현종 13)에 광주부윤 이세화(李世華)가 건립한 정자이다. 건립 당시에는 정자를 중심으로 앞뒤에 세 개의 연못이 있어서 당시 이곳을 찾은 고관들이 한유하던 낚시터였다. 지금은 두 개의 연못과 누각이 남아있다. 정자의 남쪽에는 서에서 동으로 계곡물이 흐르고 있다. 정자 옆의 연못은 'ㄷ'자형으로 파서 연못이 정자를 둘러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다. 을축년 대홍수(1925) 때 매몰.. 더보기
<한국누정023> 광주 남한산성 영춘정(迎春亭)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156, 남한산성 내 건립 시기 : 1957년 건물규모 및 구조 : 2익공 겹처마 팔모지붕 영춘정은 수어장대에서 남문인 지화문으로 가는 길 약 1km 지점에서 왼쪽 화장실 방향 큰길과 오른쪽 성벽 따라가는 산길이 갈라지는 지점의 오른쪽 산길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영춘정(迎春亭)은 일명 팔각정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현 남한산성 남문 밑에 있던 것을 1957년에 이곳 수어장대 근처로 이설 한 것이다. 이곳은 서울 경기지방 하남, 구리, 남양주, 서울시 동남부 한강일원인 송파, 강동구 일대를 관망할 수 있는 좋은 전망대이다. 내려갈 때는 성벽길을 따라 남문까지 갈 수도 있고, 올라온 길을 되돌아서 큰길을 따라 남문까지 갈 수도 있다. 성벽길은 길이 험해서 노약자들.. 더보기
<한국누정022> 광주 남한산성 수어장대(守禦將臺)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815-1, 남한산성 내 문화재 지정 :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 수어장대는 서문과 남문 사이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한 지휘소 겸 적정 감시 시설이다. 수어장대와 청량당 수어장대 경내에는 오래된 향나무와 소나무가 위용을 뽐내고 있다. 수어장대(守禦將臺)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군사적 목적에서 지은 누각이다. 남한산성에 있던 5개의 장대 중 유일하게 남아있으며, 성 안에 남아 있는 건물 중 가장 화려하고 웅장하다. 인조 2년(1624) 남한산성 축성 때 단층으로 지어 서장대라 불리던 것을 영조 27년(1751) 유수 이기진이 왕명을 받아 이층으로 다시 짓고 '수어장대'라는 편액을 달았다. 수어장대 2층 내부에는 '무망루'라는 편액이 달려 있었는데, 병자호란 때 인조.. 더보기
<한국누정021> 광주 남한산성 영월정(迎月亭)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산 29, 남한산성 내 건립 시기 : 1957년 영월정(迎月亭)은 남한산성 행궁에서 오른쪽으로 수어장대에 이르는 능선길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침괘정에서 수어장대 오르는 길을 따라 약 500m 가면 왼쪽 언덕에 우뚝 서있다. 1957년 당시 경기도지사 이익흥(李益興)이 건립한 것으로 저녁달이 뜰 때 정경이 아름다운 곳이라 하여 영월정이라 명명하였다고 한다. 건물규모와 구조는 정면 1칸, 측면 1칸, 2익 공, 4각 지붕, 원주, 우물마루에 난간을 둘렀고, 현판은 원곡(原谷) 김기승(金基昇)이 썼다. 정자가 울창한 송림 속에 위치하고 있어 솔향기 마시며 음풍농월 하기에 절경이다. 더보기
<한국누정020> 광주 남한산성 침괘정(枕戈亭) 220315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84-6(산성리 591-1), 남한산성 내 문화재 지정 : 경기도유형문화재 제5호(1972.5.4지정) 건립시기 : 조선 후기 1751년 중수후 명명 건물규모 및 구조 : 정면7칸 측면3칸 목조 단층와즙 겹처마 팔작지붕 침괘정(枕戈亭)은 행궁 한남루의 오른쪽 언덕 위에 있는 건물이다. 1624년(인조 2) 수어사로 남한산성을 축조하던 이서(李曙)가 남한산성 축성 당시 수풀속에서 이 건물을 발견하였다고 하는데 축조의 시기는 확실치 않다(백제 온조왕의 왕궁지라는 설). 현재의 건물은 영조 27년(1751) 광주유수 이기진이 중수하고 침괘정(枕戈亭)이라고 명명하였다. '침과정'을 '침괘정'이라고 부르는 까닭은 명확하지 않다. 명나라 사신 정룡이 주변에 있던 무기.. 더보기
<한국누정019> 광주 남한산성행궁 한남루(漢南樓) 220315 경기도 지역 누정을 답사하기 위하여 먼저 남한산성으로 오른다. 남한산성에는 문화재급 누각과 정자가 6개가 있는데 그중 5개가 남한산성 역사테마길 2코스 국왕의 길에 가까이 있다. 남문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2코스를 따라간다. 한남루(漢南樓) 소재지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84-29(산성리 935-1) 문화재 지정 : 남한산성 행궁 / 사적 제480호 건립 시기 : 1624년(인조 2) 9월 행궁은 왕이 항상 기거하는 궁궐을 떠나 임시로 머무는 별궁이다. 행궁 제도는 이미 삼국시대부터 시행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여러 가지 목적에 따라 많은 행궁이 건립되었다. 몇몇 행궁은 전쟁과 같은 위급한 상황을 대비하여 지어졌다. 강화행궁, 남한산성행궁, 양주행궁, 전주행궁이 그 예로, 이들은 왕이 전란.. 더보기
<금수강산> 광주 팔당물안개공원 경기도 광주시 귀여리에 위치한 팔당 물안개공원의 원래 명칭은 귀여섬이였으나 최근에 지금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 공원은 다목적광장, 시민의 숲, 희망의 숲, 코스모스길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가을이면 길을 따라 코스모스들이 한가득 피어나 코스모스 명소로도 유명하다. 자전거 길이 잘 조성되어 있으며 대여소에는 2인용 자전거, 3인용 자전거, 패밀리 카트, 클래식 전동카 등 취향에 맞게 골라 빌릴 수 있다. 또한 여름부터 가을까지 온갖 수생식물들이 아름답게 꽃을 피워 가히 수생식물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광주시 남종면 귀여리 175-2에 위치한 물안개공원 무료주차장이다. 여기에 주차하고 왼쪽으로 난 포장도로를 따라가면 물안개공원이다. 왼쪽 입구에 쉴 수 있는 정자도 있다. 공원 진입로 다리 위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