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우는 1751년 서울 남부의 명례방(현 명동 주교좌성당)에서 중인(中人) 역관의 8형제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784년 평소 친분이 있던 이벽의 권면으로 입교하여, 이승훈 베드로에게서 토마스라는 세례명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 후 그의 집에서 정기적인 신앙 집회를 가졌으나, 곧 '을사 추조 적발 사건'(1785년)이 발생하면서 지방으로 유배되었다.
유배된 후에도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며 주위 사람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다 유배된 지 2년 만인 1787년 9월 14일 3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최근까지 김범우의 유배지는 달레가 쓴 [한국천주교회사]에 근거하여 충청도 단양(丹陽)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80년 초 김범우의 후손이 나타나면서, 충청도 단양이 아니라 밀양 단장(丹場)임이 새롭게 밝혀졌다.
이후 몇 년에 걸쳐 밀양과 삼랑진 지역을 답사하면서 김범우가 묻힌 곳을 수소문하다가 마침내 1989년 김범우 외손의 도움으로 묘를 찾았다.
출토된 유물들과 후손들의 증언을 토대로 이곳을 김범우 묘소로 단정하였다.
2011년 9월 부산교구 레지아의 협조로 성모 동굴 성당을 봉헌하였고, 2017년 9월에 교육관과 피정의 집이 건립되었다.
(한국천주교성지순례/한국천주교주교회의)
김범우 순교자 성지는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만어산(670m) 중턱에 위치해 있다.
진입로 초입에 김범우 묘 비석을 세워 찾기 쉽게 했고,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포장 도로를 따라 마련된 십자가의 길 14처를 묵상하며 오르도록 했다.
14처가 끝나는 곳에 안내 표지판이 서있고, 오른쪽에 주차장이 또 있다.
중심에 성모 동굴 성당이 위치해 있고 왼쪽에 사제관, 윗쪽에 교육관과 피정의 집이 하늘로 날아오를 듯이 서있다.
성모 동굴 성당은 김범우 토마스 순교자 기념 성당으로, 부산교구 바다의 별 레지아 도움으로 2011년 9월에 봉헌 되었다.
밖으로 나오면 성모 동굴 성당에서부터 김범우 토마스 묘까지 포장 도로 왼쪽 언덕에 한국 천주교 역사상 주요 사건들을 돌에 새긴 사건비가 이어진다.
그 중 을사추조적발사건이 유난히 눈에 들어온다.
을사년에 포졸들이 명례방을 지나다가 많은 사람들이 모여있는 것을 보고 도박을 하는 줄 알고 체포하여 추조(형조)에 넘겼는데,
그때 성서 등 천주교 관련 물품들이 발견되어 명례방 천주교 공동체의 전모가 드러났다.
다른 사람들은 양반 신분이라 방면되고, 김범우만 중인 신분에다 집을 제공한 죄목으로 유배 당한다.
음수터와 휴식터까지 마련되 있다.
김범우 토마스의 묘역에 안내석과 야외제대와 넓은 잔디광장이 마련되어 있다.
김범우 토마스 순교자의 무덤이다.
교육관과 피정의 집으로 올라가 본다.
그림 같이 아름다운 집이다.
내부는 강의실, 식당, 그리고 숙소로 되어 있다.
위에서 내려다 본 성모 동굴 성당의 지붕 모습이다.
그 속에 동굴이 있고 성당으로 단장되어 있다.
이로써 김범우 순교자 성지의 순례를 마치고 성령 칠은의 흙길을 따라 묵주기도를 드리며 차가 있는 곳으로 내려왔다.
'천주교성지순례 > 부산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성지076> 한국판 카타콤바, 죽림굴 신앙사적지 190215 (0) | 2019.03.10 |
---|---|
<국내성지068> 조씨형제 순교자묘 190212 (0) | 2019.02.26 |
<국내성지067> 울산 병영 순교성지 190211 (0) | 2019.02.25 |
<국내성지066> 부산 순교자 묘소, 오륜대 순교자성지 190211 (0) | 2019.02.24 |
<국내성지065> 경상좌수영, 수영장대 순교성지 190211 (0) | 2019.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