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천남성

학명 : Arisaema amurense f. serratum ( Nakai ) Kitaq.

분류 : 천남성과 천남성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비밀, 현혹, 여인의 복수

분포 :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서식지 : 산골짜기나 숲속

개화시기 : 5 ~ 7월

 

  :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 높이 15~30cm이다.

 

천남성은 약의 성질이 극양에 가까워 가장 양기가 강한 남쪽별이라고 하는 천남성을 빌어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꽃의 모습이 뱀이 머리를 치켜든 것과 같다고 하여 사두초(蛇頭草)라고 하기도 하고, 땅속의 덩이 줄기가 호랑이 발바닥을 닮았다 하여 호장 (虎掌)이라고도 한다.

알줄기는 거담, 진경, 소종, 거풍 등의 효능이 있어 중풍, 반신불수, 상풍, 종기 등에 사용하는데, 유독성 식물이다.

천남성은 초오속 식물들과 더불어 옛날 사약으로 이용 됬을 만큼 강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

 

 

천남성  (2013년 6월 1일 촬영)

 

 

 

 

 

 

 

 

 

천남성  (경기도 광주시 문형산  2020년 4월 21일 촬영)

 

 

천남성  (안면도  2018년 5월 8일 촬영)

 

 

 

 

 

 

천남성 열매 (용인시 손골성지 광교산 2017년 7월 14일 촬영)

 

 

 

제주도  천남성 열매  (2014년 11월 20일 촬영)

 

 

 

 

 

 

 

천남성 열매  (선자령 2015년 9월 19일 촬영)

 

 

 

 

 

 

 

천남성열매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숲  2016년10월 12일 촬영)

 

 

 

 

 

 

 

 

 

 

 

 

 

두루미천남성

 

학명 : Arisaema heterophyllum Blume

분류 : 천남성과 천남성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5 ~ 6월

 이명  :  개천남성 새깃사두초

  • 다년초.
  • 잎은 1개이며 엽병은 길고 소엽은 13~19개로 도피침형이며 양끝이 좁고 중앙부의 것은 길이 3~15cm 나비 1~6cm이며 측소엽은 길이 10~25cm 나비 2~6.5cm이다.
  • 높이 50cm에 달한다.
  • 꽃은 이가화로 5~6월에 피고 소화경이 길며 포의 현부는 난형이고 길이 7-12cm 나비 3-7cm로서 통부(筒部)의 윗부분을 덮고 있으며 녹색이고 뒷면이 두드러지며 끝이 갑자기 좁아지면서 뾰족해진다. 육수화서(肉穗花序)의 연장부는 채찍처럼 길게 자라 높이 솟으며 화서축(花序軸)에 많은 꽃이 밀착한다.
  • 장과는 적색으로서 육수화서의 축에 옥수수알처럼 달려 전체가 긴 타원형으로 된다.
  • 높이 50cm

 

무의도  두루미천남성  (2015년 5월 22일 촬영)

 

 

 

 

 

 

 

 

 

 

 

 

 

 

 

 

 

 

 

 

 

 

두루미천남성 열매  (한택식물원  2020년 7월 16일 촬영)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으아리  (0) 2015.07.19
금꿩의다리  (0) 2015.07.19
엉겅퀴  (0) 2015.07.14
갈퀴나물  (0) 2015.07.14
개선갈퀴  (0) 2015.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