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길 222 (태장리)
방문일자 : 2023년 3월 5일, 맑음
천등산봉정사 일주문
천등산 남쪽 기슭에 자리한 봉정사(鳳停寺)는 신라 문무왕 12년(672)에 능인이 창건하였다고 전해진다. 어느날 능인이 도력으로 종이로 만든 봉황을 날렸는데, 이 종이 봉황이 앉은 곳에 절을 짓고, '봉황이 앉은 자리'라 해서 '봉정사'라 했다는 전설이 전한다.
1363년(고려 공민왕 12년) 극락전을 중수한 이후 여러 차례의 중수가 있었다. 특히 1972년 극락전 해체 보수 때 고려 공민왕 12년에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발견되어 극락전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확인되었다.
봉정사는 안동에서는 규모가 가장 큰 사찰로 국보 제15호인 극락전을 비롯하여 국보 제311호인 대웅전, 화엄경당(보물 제448호), 고금당(보물 제449호) 등의 건물들이 있는데, 고려시대의 건물과 조선시대의 목조건물들이 나란히 있어 우리나라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이외에도 삼층석탑, 만세루, 요사채 등의 건물이 있으며 부속암자로 영산암과 지조암 등이 있다.
1,300년 이상 우리 불교문화를 계승하고 지켜온 종합 승원으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2018년 제42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대웅전으로 올라간다.
대웅전
극락전
고금당
삼층석탑
범종각
영산암
'국내이야기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퇴계종택 230307 (10) | 2023.05.07 |
---|---|
유네스코 세계유산, 안동 도산서원 230307 (18) | 2023.05.05 |
안동 예끼마을 선성수상길 230307 (42) | 2023.04.25 |
안동 오천유적지 군자마을 230307 (46) | 2023.04.19 |
예천 풍양, 낙동강 마지막 주막 삼강주막 221115 (43) | 2023.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