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268 (토계리)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
답사일자 : 2023년 3월 7일, 맑음
종택이란 한 가문에서 맏이로 이어 온 가족이 대대로 사용해 온 집을 말한다. 퇴계종택은 조선시대의 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 가문의 종택으로, 이황의 장손인 이안도(李安道, 1541~1584)가 처음 지었다. 그러나 이안도가 지은 원래의 건물은 1907년에 불에 타 소실되었다. 지금의 가옥은 이황의 13대손 이충호(李忠鎬)가 1926년부터 3년에 걸쳐 새로 지은 것이다.
퇴계종택은 정침, 정자, 사당 영역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 영역은 담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정침 영역
정침 영역은 정침과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정침은 'ㅁ'자형으로 사랑채와 안채가 배치되어 있으며, 행랑채로 통하는 솟을 대문에는 이안도 부인 안동 권씨의 절개를 기리는 정려가 걸려 있다.
정자 영역
'퇴계선생구택'이라고 쓰인 현판이 걸린 대문을 지나면 정자 영역에 도달한다. 정자 영역에는 조선 시대의 문신 권두경(權斗經, 1654~1725)이 숙종 41년(1715)에 이황을 추모하여 지은 추월한수정(秋月寒水亭)이 있다. 원래의 정자는 1896년 일제에 의하여 불탔고, 1926년에 400여 문중의 성금으로 다시 지었다. 현재 추월한수정은 수련생을 강의하거나 문중 모임의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추월한수정 뒤쪽에 태극 문양이 그려진 사당 영역 정문이 보인다.
종택 앞 시냇가에 퇴계의 시비가 있다.
가까이에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이 있다.
'국내이야기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가송리 농암종택 230307 (13) | 2023.05.11 |
---|---|
안동 의성김씨 학봉종택 230305 (20) | 2023.05.09 |
유네스코 세계유산, 안동 도산서원 230307 (18) | 2023.05.05 |
유네스코 세계유산, 안동 봉정사 230305 (45) | 2023.05.03 |
안동 예끼마을 선성수상길 230307 (42) | 2023.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