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ex Nakai
분류 : 마디풀과 여뀌속 한해살이덩굴풀
이명 : 고만이, 돼지풀
꽃말 : 꿀의 원천
원산지/분포지 : 아시아 / 한국, 일본, 인도, 중국, 타이완 등
서식지 : 전국의 양지바른 들이나 냇가
길이 : 1 m 정도
개화시기 : 8 ~ 9월, 백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잇다.
잎 :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같으며 길이 4-7cm 폭 3-7cm이고 표면은 누은 털이 성글게 있으며 변두리에 짧은 연모(緣毛)가 밀생한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엽병은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아래로 향한 가는 가시가 있으며 엽초는 길이 5-8mm로서 가장자리에 짧은 털과 더불어 흔히 소엽같
- 길이가 1m에 달하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
- 꽃은 8-9월에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며 화경에 짧은 털과 대가 있는 선모가 있다. 소화경은 매우 짧고 꽃잎은 없으며 꽃받침은 지름 5-6mm로서 5개로 갈라지고 백색 바탕에 끝에 붉은빛이 도는 것과 흰빛이 도는 것이 있다. 수술은 8개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자방은 난형이며 암술대는 3개이다.
- 수과는 세모진 난형이고 황갈색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윤채가 없고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8-9월에 익는다.
고마리꽃은 주로 물가나 습지 같은 곳에서 잘 자라며 심지어는 하수구 같이 아주 더러운 물이 있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그러다 보니 정화능력이 뛰어 난데 그 이유는 고마리꽃나무의 뿌리를 보면 하얀 파뿌리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뿌리는 수백 가닥으로 되어있어 뿌리가 물을 흡수하여 정화능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고마리 이름의 어원 1
고마리가 서식하는 곳이 물가나 늪지 혹은 하수도 부근 같은 곳이어서 지역적인 환경 때문에 주변의 오염되고 썩은 물을 깨끗하게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여
'고마우이' 혹은 '고맙다' 라고 하다가 '고마리' 가 되었다고 하는 설.
어원 2
주변 환경이 아무리 나쁜 상태라도 무성하게 잘 자라다보니까 이제 그만 되었다고 '그만이 풀' 혹은 '그만이 꽃'이라고 하던 것이 고만이를 거쳐 '고마리'로 불리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어쨋든 잎은 식용으로, 줄기와 잎은 약용으로, 아름다운 꽃은 벌을 위한 밀원의 원천이 되니 정말로 유용한 꽃이며 고마운 꽃이라 할 수 있다.
고마리 (화악산 2013년 9월 20일 촬영)
고마리 (화악산 2014년 9월 12일 촬영)
고마리 (강천섬 2014년 9월 20일 촬영)
고마리 (물안개공원 2015년 9월 14일 촬영)
고마리 ( 팔당 물안개공원 2017년 9월 12일 촬영)
고마리 (분당 탄천 2017년 10월 3일 촬영)
고마리 (물안개공원 2019년 9월 28일 촬영)
고마리 (분당 탄천 2019년 10월 17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