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Stellaria media (L.) Vill.
분류 : 석죽과 별꽃속 두해살이풀
꽃말 : 추억
서식지 : 전국각지의 길가, 공터, 밭두렁 등의 양지바른 곳
해외분포 : 전세계
잎 :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예두 원저이고 길이 1~2cm 폭 8~15mm로서 밑의 잎은 엽병이 있으나 꼭대기 잎은 엽병이 없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하반부의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는 것도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 : 꽃은 양성이고 백색의 취산화서로서 5~6월에 피고 정생 또는 액생하며 포는 작고 잎같다. 소화경은 길이 5-40mm로서 한쪽에 털이 있으며 꽃이 핀 다음에 밑으로 처졌다가 열매가 익으면 다시 위로 향한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난상 장타원형이고 녹색이며 길이 4mm정도로서 다소 끝이 뭉뚝하고 선모가 있다. 꽃잎은 5개이며 꽃받침보다 약간 짧고 2개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1-7개이고 난형이며 자방 끝의 화주(花柱)는 3개이다.
줄기 : 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나와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한쪽에만 연한 털이 줄지어 있다
별꽃 (풍도 2016년 3월 11일 촬영)
별꽃 (김포시 용강리 2016년 5월 11일 촬영)
별꽃 (과천 관악산 2020년 3월 21일 촬영)
쇠별꽃
학명 : Stellaria aquatica (L.) Scop.
분류 : 석죽과 별꽃속 두해 또는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대생하며 밑부분의 것은 긴 엽병이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고 심장저의 잎이 줄기를 둘러싸며 길이 1~6cm 폭 0.8~3cm로서 예두이고 털이 없으며 표면의 엽맥이 쑥 들어간다.
꽃 : 5~6월에 잎이 달려 있는 가지 끝의 취산화서에 백색 꽃이 달리고 엽액에는 1개씩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5-15m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선모(腺毛)가 있고 꽃이 핀 다음 밑으로 굽는다. 꽃받침잎은 5개이며 좁은 난형이고 둔두이다. 꽃잎은 5개이나 기부까지 깊게 갈라지므로 10개인 것같이 보이고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며 난상 원형이고 자방 끝에 5개의 암술대가 있으며 자방은 난원형이다.
줄기 : 높이 20-5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자라고 윗부분이 어느정도 곧추서며 줄기에 1개의 실같은 관속이 있고 윗부분에는 선모가 약간 있다.
쇠별꽃은 별꽃보다 크기가 크며, 암술대가 5개로 암술대가 3개인 별꽃과 뚜렷이 구분된다.
쇠별꽃 (황매산 2015년 10월 3일 촬영)
쇠별꽃 ( 괴산군 연풍레포츠공원 2016년 10월 17일 촬영)
쇠별꽃 (분당 탄천 2017년 10월 3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