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분류 : 붓꽃과 붓꽃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우아한 마음, 심부름, 좋은 소식
서식지 : 우리나라에는 제주, 전남 등 주로 남부지역에 자생한다. 최근 경기도 일부지역에도 자생하는 것으로 보아 생태형이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
잎 : 잎은 길이 20-60cm 나비 0.5-1.2cm로서 2줄로 늘어서고 중륵이 뚜렷하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원줄기 또는 가지 끝에 달리며 적자색이고 안쪽에 황색 줄이 있다. 꽃 밑부분은 갈색 엽초상의 포 2개가 자방을 둘러싼다. 외화피는 3개이며 굵은 화경위에서 현부가 밑으로 처지고 타원형 원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맥이 있고 밑부분은 황색이다. 내화피는 3개이며 외화피와 호생하여 곧추서고 피침형 둔두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외화피 색과 같다. 암술대는 곧추서고 3개로 갈라지며 갈라진 끝에 곧은 삼각상의 열편이 있고 그 밑에 암술머리가 있다. 자방은 연녹색이며 하위이다.
줄기 : 높이 60-120cm 지름 6mm정도로서 털이 없고 곧추서며 때로는 가지가 갈라지고 속이 비어 있으며 1-3개의 줄기잎이 있다
단오날 머리감는 창포와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으나 완전히 다른 식물이다. 잎이 창포를 닮아 꽃창포라는 이름을 지은 것 같다.
원래 습지를 좋아하지만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란다. 연못 주변이나 공원, 자연학습장, 일반 정원 등지에 흔히 심겨지고 있다. 최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도심 내 오염된 하천을 살리기 위해 하천 내 생활오폐수의 유입을 차단하고 하천을 공원화하는 사업들을 많이 펼치고 있는데, 수로 주변에 붓꽃이나 꽃창포 등을 식재하므로써 경관 조성은 물론 수질개선에도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꽃창포 ( 무의도 호룡곡산 2014년 6월 25일 촬영)
꽃창포 (물향기수목원 2014년 5월 13일 촬영)
꽃창포 (율동공원 2020년 5월 22일 촬영)
노랑꽃창포
학명 : Iris pseudacorus L.
분류 : 붓꽃과 붓꽃속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나비 2-3cm로서 길이가 1m에 달하는 것도 있고 2열로 배열하며 양면에 융기한 중앙맥이 있다
꽃 : 꽃은 5월에 피고 황색이며 꽃 밑에 2개의 큰 포가 있고 외화피는 3개로서 넓은 난형이며 밑으로 처지고 밑부분이 좁아지며 내화피는 3개이고 긴 타원형으로서 선다. 암술대는 기부가 좁으나 갑자기 넓어져 3개로 갈라지며 다시 2개로 갈라지며 열편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3개의 수술은 암술대가 갈라진 밑부분과 접해 있다. 자방은 하위로서 원통형이며 황색이다.
노랑꽃창포 (부천시 고강동 2016년 5월 23일 촬영)
노랑꽃창포 (물향기수목원 2014년 5월 13일 촬영)
노랑꽃창포 (황학산수목원 2020년 5월 20일 촬영)
노랑꽃창포 (율동공원 2020년 5월 22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