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반하 학명 : Pinellia ternata (Thunb.) Breitenb. 분류 : 천남성과 반하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까무릇, 법반하, ·소천남성 꽃말 : 비밀 서식지 : 전국 각지, 밭, 습지 잎 : 알줄기에서 길이 10~20cm의 긴 잎자루에 달린 겹잎이 1~2개 나오는데 3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되어 있다. 길이 3~12cm, 나비 1~5cm인 작은 잎은 달걀꼴, 달걀을 닮은 타원형, 긴 타원형, 선 모양의 댓잎피침형 등 모양에 변화가 많은데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양면에 털은 없다. 작은 잎에는 잎자루가 거의 없다. 꽃 : 6월에 뿌리(잎줄기)에서 솟은 꽃줄기 끝에 엷은 황백색 꽃이 육수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턱잎은 녹색이며 길이 6~7cm이고 겉에 털이 없으나 안쪽에 털이.. 더보기
나래가막사리 학명 : Verbesina alternifolia Britton 분류 : 국화과 나래가막사리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나래가막살이 꽃말 : 알알이 영근사랑 서식지 : 전국의 산지, 공원, 도로변, 하천, 습지 해외분포 :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산지, 도로변, 하천 등지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120-250cm, 잔털이 있으며, 좁은 날개가 달린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없거나 짧다. 잎몸은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길이 8-20cm, 폭 1.5-6.0cm, 끝이 점차 좁아진다. 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으며, 양면이 거칠고 표면에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가지와 줄기 끝에 여러 개의 머리모양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린다. 혀모양꽃은 2-10개로 노란색이며, .. 더보기
기장대풀 학명 : Isachne globosa (Thunb.) O. Kuntze. 분류 : 벼과 기장대풀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애기울미 꽃말 : 서식지 : 저지대의 습지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호주 산지의 물가 또는 물기 있는 땅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눕거나 곧추서며 길이는 30-60cm, 지름 1-3mm, 마디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핀다. 줄기 끝에서 나온 원추꽃차례는 곧추서며 길이 3-8cm이다. 꽃차례의 가지는 가늘고 성글게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가지마다 작은이삭 1-3개가 달린다. 작은이삭은 넓은 도란형으로 연한 풀색 또는 자주색을 띠며, 까락은 없다.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져 있으며, 깃 모양이고 담홍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동아시아와 호주에 분포한다. 기장대.. 더보기
기린초 학명 :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분류 : 돌나물과 돌나물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소녀의 사랑, 기다림 서식지 : 중부지방, 산과 들의 바위틈 해외분포 : 중국 동북부, 일본, 러시아 동북부 잎 : 어긋나며 길이 3~4cm의 달걀꼴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살짝 둥글다. 밑 부분이 점점 좁아져 원줄기에 직접 달리므로 잎자루는 거의 없다. 양면에 털이 없고 두꺼운 육질이며 녹색이다. 가장자리에 약간 둔한 톱니가 있다. 꽃 : 6~7월에 산방 모양의 취산 꽃차례로 원줄기 꼭대기에 노란 오판화가 많이 달려 핀다. 댓잎피침형인 꽃잎이 5개이다. 녹색의 꽃받침도 5개이며 댓잎피침 모양의 선형이다. 수술은 10개, 암술은 5개이다. 열매 : 7~9월에 분과가 달리는데 익으면서 .. 더보기
뱀무 학명 : Geum japonicum Thunb. 분류 : 장미과 뱀무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만족한 사랑 서식지 : 전국각지, 산과 들의 습윤한 곳 해외분포 : 일본, 중국 개요 : 풀의 모양이 무와 비슷하게 생겨 뱀무라는 이름이 붙었다. 숲 속이나 산기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갈라지지 않거나 윗부분에서 가지를 치며, 높이 20-60cm,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잎은 3갈래로 갈라진 깃꼴겹잎이다. 끝의 작은잎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끝은 둔하고 잎 가장자리는 이빨 모양이다. 꽃은 6-9월에 피며. 가지 끝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노란색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장이다. 열매는 수과, 겉에 황갈색 털이 있다. 울릉도와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자생한다. .. 더보기
노란망태말뚝버섯 망태말뚝버섯 (흰망태말뚝버섯) 학명 : Dictyophora indusiata 분류 : 말뚝버섯과 망태버섯속 하루살이기생식물 분포지 : 한국,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 전세계 어부들이 물고기를 담는 망태모양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망태버섯은 새벽녘 먼동이 틀 무렵부터 피어오르는데 두어 시간이면 망사 그물망까지 펴지고 하루가 지나면 그 수명을 다한다. 이 버섯은 장마철에서 가을에 걸쳐 주로 대나무 숲이나 잡목림 등의 지상에서 발생한다. 대나무 숲에서는 흰색으로 잡목림에서는 노란색으로 발생한다. 흰색은 식용이 가능하나 노란색은 독버섯이다. 어린 버섯의 알은 지름이 3-5㎝로 백색이고 문지르면 연한 적자색으로 된다. 알에서 자루가 나오면 위에 있는 종모양의 균모 내부에서 흰그물모양의 레이스와 비.. 더보기
자주꽃방망이 학명 : Campanula glomerata var. dahurica Fisch. ex KerGawl. 분류 : 초롱꽃과 초롱꽃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꽃방망이, 자지꽃방망이 꽃말 : 천사, 기도 서식지 : 산지의 햇볕이 잘 드는 풀밭 분포지 : 아시아 (중국,일본,대한민국) 잎 : 근생엽은 긴 엽병을 갖는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날개가 있는 엽병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넓은 타원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길이 5-10cm 나비 1-3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거나 좁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으로서 원줄기 끝에 10개 정도가 두상으로 모여 위를 향해 달리지만 윗부분의 엽액에도 달리며 소화경이 없다. 꽃.. 더보기
왕과(王瓜) 학명 : Thladiantha dubia Bunge 분류 : 박과 왕과속 덩굴성여러해살이풀 별명 : 쥐참외 또는 주먹외 라고도 불리는데 참외와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이다 개요 : 다년생 초본의 덩굴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의 야산이나 들에서 자란다. 덩굴줄기는 2~3m 정도이고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심장형이다. 식물체 전체에 가는 섬모가 있고 가늘며 긴 덩굴손이 있다. 자웅동주인 꽃은 노란색으로 7~8월에 핀다. 열매는 길이 4~5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노랗게 익는다. ‘뚜껑덩굴’에 비해 잎이 넓고 꺼칠꺼칠하며 꽃은 황색이고 2열편의 끝이 길게 뾰족하지 않고, 종자가 수평으로 달려 있다. 어린 싹을 데쳐서 나물로 한다. 약용으로 재배한다. 잎 : 잎은 호생 잎자루는 길고 얕게 갈라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