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성군

<한국누정125> 대구 달성 육신사 태고정(太古亭)(보물)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육신사길 64 (묘리), 육신사 내 건립시기 : 조선 성종 10년(1479), 광해군 6년(1614) 재건 문화재지정 : 보물 제554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육신사로 들어가는 길 양쪽에 배롱나무꽃이 만발했다. 충신들의 붉은 충절을 보여주는 듯하다. 육신사(陸臣祠)는 사육신으로 일컫는 조선 세조 때의 박팽년.성삼문.이개.유성원.하위지.유응부 등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처음 사당을 지을 때는 충정공 박팽년 선생만을 그 후손들이 모셔 제사지냈으나, 선생의 현손인 박계창이 선생의 제삿날 사육신이 함께 사당문 밖에서 서성거리는 꿈을 꾼 뒤부터 나머지 분들의 음식도 장만하여 함께 제사지낸다고 한다.(사육신 중 유일하게 박팽년 만이 후손이 살아남았다.) 육신.. 더보기
<한국누정124> 대구 달성 삼가헌 하엽정(荷葉亭)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동4길 15 (묘리) 건립시기 : 조선시대(1874년) 문화재지정 : 국가민속문화재 제104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삼가헌 고택은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마을과 낮은 산 하나를 경계로 하고 있는 파회마을에 자리 잡은 조선 시대의 주택이다. 묘골마을은 사육신의 한 사람인 충정공 박팽년의 후손들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 집성촌이다. 1769년 박팽년의 11대손인 성수가 이곳에 초가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서 삼가헌이라고 이름하였다. '삼가(三可)'란 중용에 나오는 선비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으로 '천하와 국가를 다스릴 수 있고, 벼슬과 녹봉을 사양할 수 있고, 날카로운 칼날을 밟을 수 있음'을 뜻한다. 1783년에 성수의 아들 광석이 이웃 마을에서 분가하.. 더보기
<한국누정123> 대구 달성 하목정(霞鶩亭)(보물)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목정길 56-10 (하산리) 건립시기 : 조선 선조 37년(1604) 문화재지정 : 보물 제2053호 답사일자 : 2022년 8월 1일, 맑음 달성 하목정(霞鶩亭)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낙포 이종문(洛浦 李宗文)이 선조 37년(1604)에 세운 것으로, 원래는 주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하목정(霞鶩亭)이란 정자의 이름은 조선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전에 이곳에 머문 적이 있어, 이종문의 장남인 이지영에게 직접 써 주었다고 한다. 일반 백성들의 주택에는 서까래 위에 부연을 달지 않는 것이 관례였으나, 인조의 명으로 부연을 달았다고 한다. 이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넓은 대청에 방 4칸을 세로로 덧붙여 평면이 '정(丁)자.. 더보기
배롱나무꽃, 대구 달성 하목정 220801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하목정길 56-10 (하산리) 문화재 지정 : 보물 제2053호 촬영 일자 : 2022년 8월 1일, 흐림 하목정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이었던 이종문(李宗文)이 1604년에 건립한 것으로 원래는 제택의 사랑채였으나 안채가 없어진 후 정자로 사용하고 있다. 인조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이 집에 머문 적이 있었는데 그때 이종문의 장자인 이지영에게 하목정이란 당호를 써 주었다고 한다. 하목정 주변에 배롱나무가 울창하여 배롱나무꽃이 만개하는 7월 하순부터 8월 초에는 전국의 사진작가들이 모여든다. 더보기
<필름사진 추억여행> 달성 정대리의 가을풍경 031102 장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정대리 출사일자 : 2003년 11월 2일, 맑음 동행자 : 길사진연구소 카메라 : Nikon FM2, 필름 : Kodak Gold, 사진스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