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상주문화재

<한국누정204> 상주 경천대 무우정(舞雩亭) 230501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경천로 652 (삼덕리 1-13) 건축시기 : 조선 인조 14년(1636), 1748년 중건, 2005년 보수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무우정(舞雩亭)은 우담 채득기(雩潭 蔡得沂,1604~1646) 선생이 1636년(인조 14)에 병자호란을 예견하고 숭명(崇明)의 의리를 지켜 은거하여 자연에 귀의하러 지은 정자이다. 무우란 '춤을추며 비를 빈다.'는 뜻이요 정자도 기우제터 우담(雩潭) 위에 세워졌으나, 선생은 자연을 벗삼아 도를 즐긴다는 풍호영귀(風乎詠歸)의 뜻을 취하여 그 이름을 삼았노라 밝히었다. 우담선생은 충절가의 후예로 학문에 뛰어나 빙고별좌에 제수된 징사요 신묘한 침술로 국난에 특채된 명의였다. 1637년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등이 청의 볼모가 .. 더보기
<한국누정203> 상주 청간정(聽澗亭) 230501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154 건축시기 : 1650년경 건축, 1870년 중수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08호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청간정(聽澗亭)은 풍양조씨 가곡 조예(柯谷 趙예, 1608~1661)가 1650년경 건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1870년 무렵에 5개 파 자손들이 힘을 모아 수리했다. 풍양조씨 검간공파 자손들의 학문의 장소이자 영남유림의 인사들이 모여 시국을 논하고 시회를 열던 장소로 알려져 있다. 청간이라는 이름은 '자연의 소리인 계곡의 물소리를 듣는 것과 동시에 마음 깊숙한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는 뜻으로서 자연을 벗하여 자신을 수양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정자의 이름처럼 앞으로 시냇물이 흐르는 산비탈을 이용해 앞면 3칸, 옆면.. 더보기
<한국누정202> 상주 쾌재정(快哉亭) 230501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함창로 41-61 (가장리 230-1) 건축시기 : 조선 중종 때(1506년) 건축, 1780년대 개축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1호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쾌재정(快哉亭)은 상주군 이안면 가장리에 있는 정자이다. 조선초기의 문신이며 문장가, 중종반정의 공신으로 인천군(仁川君)에 책봉되었던 나재 채수(懶齋 蔡壽,1449~1515)가 중종반정 이후 이조참판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지은 정자이다. 이세택, 이천섭, 조석철, 류재규, 정종로, 김한동 등 당대 문인들이 이곳에서 도의를 토론하고 학문을 닦았다. 또한 채수는 이곳에서 최초의 한글소설 을 저술했다. 건물은 이안천과 주변 풍경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산꼭대기에 있는데, 임진왜란 때 없어진 .. 더보기
<한국누정201> 상주 대산루(對山樓)와 계정(溪亭)(보물) 230501 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외서면 채릉산로 799-46 (우산리 193-1) 건축시기 : 조선시대 1602년, 1778년 현재 모습 중창 문화재지정 : 보물(2022.12.28지정)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상주 대산루(對山樓)는 우복 정경세(愚伏 鄭經世, 1563~1633)가 낙향한 후 우산리에 들어와 은거하고 학문을 닦는 장소로 1602년에 처음 짓고 1778년에 6대손 입재 정종로(立齋 鄭宗魯, 1738~1816)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중창한 누정 겸 서실이다. 정경세는 17세기 영남학파의 전통을 잇는 학자로서 예학에 조예가 깊어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의 대가로 불렸으며, 선조 때 출사하여 광해군과 인조 연간에 이조판서, 홍문관.예문관 대제학을 지냈으며, 류성룡의 제자로 퇴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