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운평리 154
건축시기 : 1650년경 건축, 1870년 중수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08호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청간정(聽澗亭)은 풍양조씨 가곡 조예(柯谷 趙예, 1608~1661)가 1650년경 건축한 것으로 추정되며, 1870년 무렵에 5개 파 자손들이 힘을 모아 수리했다. 풍양조씨 검간공파 자손들의 학문의 장소이자 영남유림의 인사들이 모여 시국을 논하고 시회를 열던 장소로 알려져 있다.
청간이라는 이름은 '자연의 소리인 계곡의 물소리를 듣는 것과 동시에 마음 깊숙한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는 뜻으로서 자연을 벗하여 자신을 수양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정자의 이름처럼 앞으로 시냇물이 흐르는 산비탈을 이용해 앞면 3칸, 옆면 1.5칸의 정자를 짓고 출입문은 남서쪽으로 냈다. 앞쪽은 다락처럼 높게 툇마루를 설치하여 정자 앞의 흐르는 시냇물을 볼 수 있게 했다. 그 뒤로 온돌방 2칸과 마루 1칸이 일렬로 놓여 있다. 지붕의 뼈대는 대들보와 종보에 서까래를 받치는 나무인 도리가 5줄로 걸리는 오량가의 형식으로 되어 있다.
현재 청간정에는 청간정(聽澗亭)과 조씨가숙(趙氏家塾) 두 개의 편액이 있다. 청간정은 17세기 후반에 세워졌고, 19세기 후반에 중수된 것으로 조선 중기 정자건물의 특성을 갖추고 있고, 건립당시의 규모와 구조형식이 비교적 잘 유지되고 있어서 조선시대 정자건축 연구의 자료적 가치가 높다.









청간정 왼쪽 단위에는 500년 된 은행나무 두 그루가 청간정을 지키고 있다.




청간정 앞을 흐르던 시냇물은 맑고 청량했으나, 지금은 계곡의 윗쪽에 저수지가 생겨 옛물소리를 들을 수 없다고 하며 남장산 자락은 전부 감나무밭으로 변했다..


'한국의누정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05> 상주 장각폭포와 금란정(金蘭亭) 230501 (51) | 2023.06.16 |
---|---|
<한국누정204> 상주 경천대 무우정(舞雩亭) 230501 (50) | 2023.06.14 |
<한국누정202> 상주 쾌재정(快哉亭) 230501 (49) | 2023.06.10 |
<한국누정201> 상주 대산루(對山樓)와 계정(溪亭)(보물) 230501 (49) | 2023.06.08 |
<한국누정200> 의성 영귀정(詠歸亭) 230430 (52) | 2023.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