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꽃다지

학명  :  Draba nemorosa L. f. nemorosa

  •  십자화과            
  •  꽃다지속            
  • 코딱지나물
  • 2년생 초본
  • 꽃말  :  무관심
  • 분포지역 : 우리나라 전역, 북반구 온대에서 난대     
  • 근생엽은 많이 나와서 방석처럼 퍼지고 주걱형 비슷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4cm 폭 8-15mm로서 톱니가 약간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경생엽은 호생하며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3cm 폭 8-15mm로서 둔두 예저이며 톱니가 약간 있다.
  • 높이가 2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추서며 흔히 가지가 갈라지고 하부에 단모(單毛) 분지모(分枝毛) 성상모(星狀毛)가 있다.
  • 꽃은 황색으로 4~6월에 피며 원줄기나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많은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잎은 4개이며 타원형으로서 길이 1.5mm정도이다. 꽃잎은 4개이고 넓은 주걱형이며 길이 3mm정도이다. 6개의 수술중 4개는 길고 암술은 1개이다.
  • 짧은 각과(角果)로서 편평하며 장타원형이고 길이 5-8mm 폭 2mm로서 전체에 털이 있다. 종자를 정력자라고 한다.
  • 높이 20cm가량이다.

 

원래 ‘~아지’는 송아지나 망아지처럼 본래보다 작은 것에 붙여진다. 꽃다지도 다 자란 것이 20㎝밖에 안 되어 붙여졌다.

본래 다지는 오이나 가지 따위의 맨 처음 열린 열매를 말하므로 꽃다지라는 이름 속에는 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운다는 뜻도 들어 있다. 아직 꽁꽁 언 땅에서 연둣빛 줄기가 나와 이른 봄에 성급할 정도로 빨리 꽃이 핀다. 생명의 놀라운 힘을 우리에게 알려주기라도 하는 듯하다.

 

꽃은 열십(十)자 모양으로 노랗게 핀다. 이렇게 십자 모양을 이루는 꽃들을 ‘십자화’라고 부른다.

 

꽃다지의 특징은 전체적으로 잔털이 수북하게 나 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열매에도 털이 송송 나 있다. 모양은 비슷하지만 열매에 털이 없는 것은 민꽃다지라고 한다

 

 

 

꽃다지 (광주시 오포읍 불곡산  2020년 4월 14일 촬영)

 

 

꽃다지  (경기도 광주시 오포읍 불곡산  2018년 4월 16일 촬영)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양지꽃  (0) 2018.05.01
까마귀밥나무  (0) 2018.04.23
소래풀  (0) 2018.04.23
스파이더릴리(Spider Lily)  (0) 2018.03.01
케리안드라(Calliandra)  (0) 2018.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