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세종특별자치시 갈매로 208(나성동 101), 독락정 역사공원 내
건립 시기 : 조선 세종 19년(1437)
문화재 지정 : 세종특별자치시 문화재자료 제8호(2012.12.31 지정)
촬영일자 : 2022년 7월 15일, 맑음
독락정은 세종시 나성동 독락정 역사공원 안에 위치해 있다. 독락정 역사공원은 주변 숲을 보존하면서 독락정 관련 역사 유물들을 보존하기 위하여 조성된 공원으로 내년 봄에 정식 개장 예정이라 한다.
역사공원 내 부용정 모형 정자
나성 독락정(獨樂亭)은 고려 후기 충신이자 부안 임 씨 전서공파 파조인 임난수(林蘭秀 1342~1407) 장군의 절개와 의리를 기리기 위하여 아들 임목이 조선 세종 19년(1437)에 지은 정자로 그 후 여러 차례 고쳤다.
임난수 장군은 고려 공민왕 때 최영 장군과 함께 탐라를 정벌하여 큰 공을 세우고 전서의 벼슬에까지 올랐으나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한 하늘에 두 임금을 모실 수 없다 하여 벼슬을 사양하고 지금의 세종시 연기면 양화리로 낙향하여 생애를 마쳤다.
독락정은 생사축와형(生蛇逐蛙形, 뱀이 개구리를 잡아먹고자 강가까지 쫓아 내려온 형국)으로 금강가 언덕 끝에 금강을 내려다보고 서있다. 주변에는 큰 소나무들이 우거져 있다.
독락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평면으로 후열 가운데 칸에 창호를 달아 마룻바닥을 만들고 나머지 부분은 개방하였다.
기단은 화강석 장대석이며 8각 장초석에 원형 기둥을 세우고 지붕은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조성하였다.
독락정의 뒤편에 세종특별시 향토문화유산 제42호로 지정된 '임씨가묘'가 있다. 이곳에는 임난수 장군의 제사를 모시는 사당과 임난수 장군 신도비가 있다.
'한국의누정 > 세종.대전.충청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076> 대전 우암사적공원 기국정(杞菊亭) 220715 (24) | 2022.07.27 |
---|---|
<한국누정075> 대전 옥류각(玉溜閣) 220715 (13) | 2022.07.25 |
<한국누정074> 대전 미호마을 취백정(翠白亭) 220715 (19) | 2022.07.23 |
<한국누정073> 세종 한림정(翰林亭) 220715 (11) | 2022.07.21 |
<한국누정072> 세종 사관정(四觀亭) 220715 (8)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