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

<한국누정300> 광주 부용정(芙蓉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고싸움로 2 (칠석동) 건립시기 : 조선 태종 12년(1412)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부용정(芙蓉亭)은 부용 김문발(芙蓉 金文發, 1359~1418)이 세운 정자이다. 김문발은 고려 말부터 조선 초까지 활동한 인물로 경기.충청.경상.전라 4개도의 수군도절제사와 황해도 관찰사를 역임하였으며 왜적을 물리친 공이 크다. 잠시 관직에서 물러나 있는 동안(1411~1412) 칠석동에 부용정을 짓고, 향민과 함께 향약을 시행하여 향촌 사회의 공동체 결속과 풍속 교화에 힘썼다. 부용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 시행지로 알려져 있으며, 또한 광주 향약의 유래가 되었다. 부용정의 구조는 정면과 측면이 세 칸으로 같고, 측면에서 보면 사람 인(.. 더보기
<한국누정299> 광주 호가정(浩歌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분토길 195 (본덕동)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3년(1558), 고종 8년(1871) 재건축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호가정 입구에는 호가정이 광주.전남 8대정자 선정 위원회에서 4번 째 정자로 선정되었음을 알려주는 간판과 호가정 이야기 간판이 있어 호가정의 대략적인 내력을 알 수 있으나, 호가정의 보수공사로 인해 출입이 금지되어 있다. 다행히 공사가 마무리 단계여서 관계자의 허락을 받아 정자에 오를 수 있었다. 호가정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좌우에 정자의 주인공 설강 유사 선생의 시비가 서있다. 호가정(浩歌亭)은 조선시대에 설강 유사(雪江 柳泗, 1502~1571)가 지은 정자로, 호가정이라는 이름은 중국 송나라 소강절이.. 더보기
<한국누정298> 광주 만취정(晩翠亭) 240403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본량본촌길 29 (동호동) 건립시기 : 1913년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3일, 비 만취정(晩翠亭)은 조선 말 우국지사인 만취 심원표(晩翠 沈遠杓, 1853~1939)가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1913년에 지은 정자이다. 심원표는 이 곳 동호동에서 태어났으며 만취는 그의 호이다. 젊어서는 기정진, 중년에는 송병순에게 공부하였으며, 기우만, 오준선 등과 교유하였다. 그는 나라가 기울어져 가는 상황에서도 마음을 굳게 지키며 의병들을 돕다가 일제에 곤욕을 치르기도 하였다. 만취가 '추운 겨울에도 푸른빛을 잃지 않는 소나무의 높은 절개를 이르는 말'이라고 기우만은 설명하였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1칸에 전후퇴가 있고, 가운데에 온돌방을 배.. 더보기
<한국누정297> 광주 풍영정(風詠亭) 240401 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산구 풍영정길 21 (신창동)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5년(1560)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1일, 맑음 풍영정(風詠亭)은 조선시대 승문원판교를 지낸 김언거(金彦거, 1503~1584)가 벼슬을 물러난 뒤 고향에 돌아와 지은 정자로 1948년에 후손들이 지붕을 수리하였다. '풍영'이라는 이름은 자연을 즐기며 시가를 읊조린다는 뜻으로, 논어에서 따온 말이다. 김언거는 자는 계진(季殄) 호는 칠계(漆溪)이고, 중종 20년(1525) 과거시험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으며, 명종 15년(1560) 승문원판교를 끝으로 고향에 내려왔다. 풍영정에서 지내면서 김인후.이황 등의 이름 높은 유학자들과 교우하였다. 풍영정은 앞면 4칸, 옆면 2칸 규모로.. 더보기
<한국누정296> 광주 만귀정(晩歸亭) 240401 소재지 : 광주광역시 서구 동하길 10 (세하동) 건립시기 : 1934년, 1945년 중수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1일, 맑음 만귀정(晩歸亭)은 홍성 장씨의 선조인 효우당 장창우(孝友堂 張昌雨, 1704~1774)가 1750년 무렵에 지은 정자이다. 전라북도 남원에 살던 장창우는 이 동하 마을로 이사한 후에 학문을 가르치고 마을의 쉼터로 사용하기 위해 이 정자를 지었다. '만귀정'이라는 이름은 남은 삶을 자연과 함께 지내겠다는 뜻으로 붙인 것이다. 원래의 건물은 없어졌고, 현재의 건물은 1934년에 후손인 묵암 장안섭(默菴 張安燮) 등이 만귀정 옛터에 정자를 다시 지었고, 1945년에 중수하였다. 건물은 앞면 2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바닥에는 우물마루를 .. 더보기
<한국누정295> 광주 풍암정(楓岩亭) 230818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풍암제길 117(금곡동) 건립시기 : 조선 선조 때(1570년 대)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3년 8월 18일, 맑음 풍암정은 광주광역시 무등산국립공원 내 풍암제 원효 계곡에 있는 정자로 가을철에는 단풍터널이 유명한 곳이다. 풍암정(楓岩亭)은 조선 중기 선조와 인조 때 활동했던 김덕보(金德普, 1571~1627)가 세운 정자이다. '풍암'이라는 이름은 '단풍과 바위가 어우러진 수려한 풍광'이라는 뜻으로 예전에 단풍 좋기로 이름났던 원효 계곡 일대의 아름다운 경치를 표현한 것이다. 김덕보의 호는 풍암으로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한 김덕령 장군의 동생이다. 임진왜란을 겪으며 큰형 김덕홍이 금산에서 순절하고, 작은형 김덕령이 모함을 받아 억울하게 죽자.. 더보기
<한국누정294> 광주 취가정(醉歌亭) 230818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환벽당길 42-2 (충효동) 건립시기 : 조선 고종 27년(1890), 1955년 재건축 문화재지정 : 광주광역시 문화재자료 답사일자 : 2023년 8월 18일, 맑음 취가정(醉歌亭)은 충효마을 동쪽 북촌마을에 위치해 있으며, 환벽당에서 200m 남쪽 언덕 위에 있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 기와 지붕 형태의 건물이다. 중앙의 거실 한 칸과 좌 우 양 칸은 마루로 꾸며져 있다. 임진왜란 때 조선 의병의 총지휘관이었던 충장공 김덕령(忠壯公 金德齡, 1568~1596) 장군의 혼을 위로하고 충정을 기리려고 후손들이 세웠다. 정자의 이름은 충장공 김덕령과 같은 시대 인물인 권필(1569~1612)의 꿈에 누명을 쓰고 죽은 김덕령이 나타나 억울함을 호소하고 한 맺힌 노래 [취시가.. 더보기
<한국누정293> 광주 환벽당(環碧堂) 일원 230818 소재지 : 광주광역시 북구 충효동 387-0 건립시기 : 조선 명종(1500년)대 문화재지정 : 명승 답사일자 : 2023년 8월 18일, 맑음 광주 환벽당(環碧堂)은 사촌 김윤제(沙村 金允悌, 1501~1572)가 부친 김후의 정자를 중수하여 건립한 정자이다. 정자 주변에는 무등산 원효계곡의 계류가 흐르고, 계곡 아래 증암천은 배롱나무가 아름다운 장관을 이루어 자미탄이라 불렸다. 증암천 주변에는 송강 정철과 사촌 김윤제가 처음 만난 곳이라 전해지는 조대와 용소, 쌍송이 위치하고 있다. 면앙정 송순은 서하당 김성원이 식영정을 건립하고 3년이 지난 명종 18년(1563) 식영정 시에 차운하며 '식영정과 환벽당'은 형제의 정자라 하였고, 소쇄원과 식영정, 환벽당을 가리켜 한 계곡에 세 곳의 명승으로 꼽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