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Lilium lancifolium Thunb.
분류 :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깨끗한 마음, 순결
원산지/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서식지 : 전국 각지에 분포하며 산지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개화시기 : 7 ~ 8월
우리나라에서 나는 백합류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종류이며, 식물체가 크고 꽃이 화려해 나리중에서도 "참"이라는 의미로 참나리로 명명 되었다.
잎 : 어긋나와 줄기를 빙 돌며 다닥다닥 달리는데 길이 5~18cm, 나비 10~15mm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녹색이고 두터우며 끝이 날카롭다. 잎자루가 없으며 잎겨드랑이에 짙은 갈색의 살눈이 달린다.
꽃 : 7~8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4~20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려 핀다. 갈라진 꽃덮이 조각은 6개이고 댓잎피침형인데 짙은 황적색 바탕에 흑자색 반점이 많고 바깥쪽으로 심하게 젖혀져서 말린다. 밑 부분에 짧은 돌기가 많이 달려 있다. 6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길게 꽃 밖으로 뻗으며 꽃밥은 짙은 적갈색이다
열매 : 열매를 맺지 않고 살눈이 땅에 떨어져 발아하여 번식한다.
특징 : 나리·알나리·호랑나리·권단·야백합·견내리화·대각나리라고도 한다. 수많은 나리 종류 중에서 꽃이 크고 아름다워 '진짜 나리'라는 뜻으로 참나리라 부른다. 그러나 꽃이 아름다운 반면에 향기가 없다. 또한 붉은 꽃잎이 뒤로 말려 있어 권단(卷丹)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비늘줄기는 지름 5~8cm로 둥글며 밑에서 뿌리가 나온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흑자색의 반점이 빽빽이 나 있으며 가지를 치지 않고 어릴 때는 거미줄 같은 흰 털로 덮인다.
참나리의 전설
옛날 한 마을에 아리따운 처녀가 살고 있었다.
이 고을의 횡포가 심한 원님의 아들이 이 처녀를 보자 마음에 들어 강제로 희롱하려 했다.
그러나 처녀는 완강히 저항하고 원님 아들의 강제추행에 자결로 순결을 지켰다.
원님의 아들이 이를 깊이 반성하고 처녀를 양지에 묻어 주었다.
훗날 무덤 위에 아름다운 꽃 한 송이가 피었다.
원님의 아들은 이 꽃을 가져와 고이 키웠다고 하는데 이 꽃이 참나리이다.
참나리 꽃말처럼 순결, 깨끗한 마음을 전설에서도 보여준다.
경기도 일원 참나리 (2013~2014년 촬영)
참나리 (남한산성 2016년 7월 25일 촬영)
참나리 (분당탄천 2017년 7월 9일 촬영)
참나리 (용인 손골성지 2018년 7월 19일 촬영)
참나리 (분당 탄천 2019년 7월월 22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