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Hemsl.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활엽소관목
꽃말 :
이명 : 목통화, 목단등
원산지/분포지 : 한국, 만주
서식지 : 중부,북부지방의 산지의 숲 가장자리
개화시기 : 8 ~ 9월, 남청색의 꽃을 피운다. 간혹 진한 분홍색의 꽃도 있다.
암꽃에는 수술과 암술이 같이 있고 수꽃은 수술만 가지고 있어 암수가 서로 다른 꽃인데, 암술, 수술이 꽃 안쪽에 숨어 있어 육안으로는 관찰하기 어렵다고 한다.
잎 : 잎은 3출복엽으로 광란형이며 예저이고 결각(缺刻) 모양의 거친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다
꽃 : 꽃은 자웅이주로서 8-9월에 피고 남청색이며 정생(頂生) 또는 액생(腋生)하는 산형화서에 빽빽하게 달리지만 모여 달리기 때문에 거의 두상으로 보인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밑부분만이 합쳐져서 통형으로 되고 윗부분은 넓게 수평으로 퍼져서 아름다우며 뒤로 말리지 않고 하늘색이며 가장자리에 주름이 진다.
줄기 : 세장(細長)하다
이름은 풀로 되어 있지만 사실상 나무인 자주조희풀의 이름에대한 유래는 정설로 굳어진 것이 없고,
'조희'는 '종이'의 경남, 충청지방 방언인데 이와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만 있다.
남한산성 자주조희풀 (2015년 7월 28일 촬영)
자주조희풀 (남한산성 2014년 7월 31일 촬영)
병조희풀
학명 : Clematis heracleifolia DC.
분류 :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낙엽활엽소관목
개화시기 : 8 ~ 9월, 보라색
잎 : 잎은 대생하며 3출복엽이다. 소엽은 다소 혁질이고 넓은 난형이며 길이 6-15cm로서 첨두이고 넓은 예저 또는 절저이며 양면이 모두 거칠고 털이 약간 있으며 불규칙한 치아상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나 흔히 3개의 얕은 결각이 생긴다. 뒷면에는 구부러진 털이 있고 주맥이 현저히 돌출하며 엽병은 길이 15cm이고 털이 있다
꽃 : 꽃은 잡성으로서 8-9월에 피며 여러 개가 액생하고 산형화서를 이루며 화경에 백색 털이 있고 꽃은 아래를 향하고 피침형이며 꽃받침이 있고 화관은 관상이며 윗부분은 뒤로 젖혀진다. 꽃받침잎은 4개로 보라색이고 화관 바깥쪽은 백색 털이 밀생한다. 암술대는 길이 1.5-2.0cm이며 깃털같은 백색 털이 있다
줄기 : 높이가 1m에 달하고 밑부분은 목질이 발달하지만 윗부분은 죽는다. 줄기에 세로 능선이 뚜렷하며 백색털이 밀생하고 회갈색이다
화악산 병조희풀 (2015년 8월 6일 촬영)
병조희풀 (화악산 2016년 8월 13일 촬영)
병조희풀 (화악산 2018년 8월 18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