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묵계하리길 42 (묵계리)
건립시기 : 1500년(조선 연산군)
문화재지정 : 명승 제82호(2011.8.8지정)
답사일자 : 2023년 3월 6일, 맑음
만휴정(晩休亭)은 조선 전기의 문신 김계행(金係行, 1431~1517)이 1500년에 지은 정자이며 말년에 독서와 학문을 연구한 곳이다.
김계행은 1480년 50세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살이를 하다가 연산군의 폭정이 시작되자 향리로 돌아와 숨어 살았다. 그는 청백리로 유명하였다. 보백당(寶白堂)이라는 호는 그가 일찍이 읊었던 시 구절 가운데 '우리 집에는 보물이 없지만 보물로 여기는 것은 청렴과 결백이네[吾家無寶物 寶物惟淸白]'라는 글에서 따왔다. 1498년에 안동에 내려와 지은 집의 이름도 그의 호를 따서 '보백당'이라 하였다.
보백당 바로 옆에 지은 정자인 만휴정의 이름은 '말년에 쉬는 정자'라는 의미에서 지은 것이다. 만휴정의 이름은 본래 '쌍청헌'이라 하였다가 나중에 '만휴정'으로 바뀌었다.
정자 아래 바위에는 '보백당만휴정천석(寶白堂晩休亭泉石)이란 큰 글씨를 새겨 놓았는데, '보백당이 말년에 쉬는 정자와 산수의 경치'라는 의미이다.
만휴정을 가기 위해서는 만휴정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500m 떨어진 만휴정까지 송암계곡길을 걸어가야 한다.


겨울이라 물줄기가 하얗게 얼음이 된 송암폭포 위쪽에 만휴정의 모습이 보인다.




입구에 만휴정 안내판과 이곳에서 tvN의 '미스터션샤인' 드라마 촬영을 했음을 알리는 표지판이 서있다.



만휴정은 인공적인 원림 요소가 극히 절제된 구성을 보여준다. 이곳을 짓기 위해 축조한 석축과 담장, 소박한 정자, 계곡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원림의 전부이다. 본래 우리나라 원림은 인공적인 일본의 정원이나 과장된 중국 민가정원과는 달리, 주변에 있는 다양한 자연 요소를 모두 소재로 차용해서 정원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만휴정 원림은 이러한 한국 고유의 소박한 원림 형태를 잘 보여주는 고정원이다.




정자의 규모는 앞면 3칸.옆면 2칸이며, 앞면을 마루 형식으로 개방하여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양쪽에는 온돌방을 두어 학문의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계류, 폭포, 산림경관 등이 정자와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그 아래 떨어지는 폭포는 장관을 이룬다. 정자 아래 바위에 새겨 놓았다는 '보백당만휴정천석'이라는 글씨는 아래로 내려갈 수 없어서 찾아보지 못했다.




계류 위쪽으로 올라가면 넓은 바위에 김계행이 읊었다는 시 '오가무보물 보물유청백'이라는 글자가 각자되어 있다.






'한국의누정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185> 안동 만우정(晩愚亭)과 정재종택 230306 (53) | 2023.04.15 |
---|---|
<한국누정184> 안동 약계정(藥溪亭) 230306 (53) | 2023.04.13 |
<한국누정182> 안동 광풍정(光風亭)과 제월대(霽月臺) 230305 (45) | 2023.04.07 |
<한국누정181> 안동 월영교 월영정(月映亭) 230305 (46) | 2023.04.05 |
<한국누정180> 안동 귀래정(歸來亭) 230305 (22)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