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은행나무길 371-15 (용계리)
건립시기 : 조선 현종 때, 1989년 현재 위치로 이건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호
답사일자 : 2023년 3월 6일, 맑음
약계정 가는 길은 914번 도로 천지리에서 좌회전하여 4km 산길을 가야한다. 길이 씨멘트로 포장은 되어 있으나 경사가 심하고 험하며 차량 교행이 어려운 꼬불꼬불 산길을 따라 산을 하나 넘어야 한다.


약계정(藥溪亭)은 조선 현종 때 영릉참봉을 지낸 약계 권순기(藥溪 權舜紀, 1679~1746)가 학문을 하던 곳이다. 약계는 갈암 이현일(葛庵 李玄逸, 1627~1704)의 문인이다. 원래 반변천 옆에 건립되었으나 수해로 유실되어 광무 2년(1898)에 마을 안으로 옮겨져 보존되어 오다가 임하댐의 건설로 인하여 1989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홑처마집으로 자연석 덤벙주초 위에 둥근기둥 및 사각기둥을 사용하여 건립한 검소한 정자이다. 마루바닥을 지반에서 5자 정도로 높게 하여 누마루와 같은 느낌을 준다.
뒤쪽 3칸은 가운데가 마루로 전면의 누마루와 연접되어 있으나 사분합들문을 달아 마루방으로 꾸몄다.












'한국의누정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186> 안동 백운정(白雲亭)과 개호송숲 230306 (50) | 2023.04.17 |
---|---|
<한국누정185> 안동 만우정(晩愚亭)과 정재종택 230306 (53) | 2023.04.15 |
<한국누정183> 안동 만휴정(晩休亭) 원림 230306 (50) | 2023.04.11 |
<한국누정182> 안동 광풍정(光風亭)과 제월대(霽月臺) 230305 (45) | 2023.04.07 |
<한국누정181> 안동 월영교 월영정(月映亭) 230305 (46)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