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대구.경북

<한국누정188> 안동 군자마을 침락정(枕洛亭) 230307

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군자리길 21 (오천리), 군자마을
건립시기 : 1608년(조선 인조),  1974년 현재 위치 이건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호
답사일자 : 2023년 3월 7일,  맑음
 
 
 
침락정(枕洛亭)은 의병대장 김해(金垓)의 아들인 김광계(金光繼, 1580~1646)가 1608년에 세운 정자이다. 다른 이름으로 운암정사(雲巖精舍)라고도 한다. 원래 예안면 오천리 낙동강 근처에 있었는데 안동댐을 건설하면서 1974년에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김광계는 한강 정구(鄭逑, 1543~1620)의 제자이며, 젊어서부터 학문으로 명성이 높았다. 1637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한양으로 올라가는 길에 인조가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통곡하며 군사를 해산시켰다. 이후에는 고향에 은거하며 말년을 보냈다.
침락정은 학문을 토론하거나 시를 지으려고 모이는 장소로 활용되었다. 대청 안쪽에는 운암정사라는 현판이 걸려있다. '정사'는 수양과 공부의 장소로 지은 건물을 말하고, '운암'은 김광계의 증조할아버지인 김연의 호이다.
침락정은 앞면 4칸, 옆면 2칸의 크기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 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가운데 2칸은 대청마루인데 문을 달아 개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양쪽에는 온돌방으로 꾸몄다.
 
 

 
안동 군자마을 : https://ygkgyou.tistory.com/2240#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