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가송길 177-42 (가송리)
건립시기 : 조선 명종 19년(1564)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답사일자 : 2023년 3월 7일, 맑음
고산정은 도산면 가송리 가송협 절벽 옆에 세워진 정자이다. 가송협은 청량산 아래 낙동강 물줄기가 산허리를 끊어 두 개의 절벽으로 갈라놓아 내병대와 외병대라 불리는 절경에서 시작하여 맞은편 독산까지 이르는 협곡을 말하는데, 경치가 아름다워 안동팔경 중 하나로 불린다. 이곳 나루터에서 드라마 미스터션샤인 촬영도 했다고 표지판이 서있다.







고산정으로 가기 위해서는 이 다리를 건너 고산정으로 접근해야 한다.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고산정(孤山亭)은 조선 시대의 문신이자 의병장인 금난수(琴蘭秀)가 학문과 수양을 위해 명종 19년(1564)에 지은 정자이다. 금난수는 경상북도 안동 예안면 출신으로, 명종 16년(1561) 생원시에 합격한 뒤 여러 관직을 지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향에 은거하며 노모를 모시다가, 정유재란 때 고향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며 안동을 방어하는 데 공을 세웠다.
고산정은 강물이 넘어오지 못하도록 자연석으로 축대를 높이 쌓은 후 지어 올린 정자이다. 정자의 오른쪽 전체와 왼쪽 뒷면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고, 왼쪽 앞면에는 마루가 깔려 있으며, 앞면과 양옆에는 난간을 두른 쪽마루를 덧달았다. 정자 안에는 금난수와 그의 스승인 퇴계 이황의 시가 쓰여진 현판이 걸려 있다고 하는데 문이 잠겨있어 안으로 들어가지는 못했다. 이 일대는 예로부터 경관이 좋은 곳으로 소문났기에 이황도 여러 제자들과 함께 여러 차례 고산정을 찾아와 경치를 즐기며 시를 지었다고 한다.









예전에는 이 일대에 학이 살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없고, 정자 왼쪽에 조선총독부에서 세웠다는 조학번식지(鳥鶴蕃殖地)라는 천연기념물 비가 서있다.

정자 입구 길가에 퇴계오솔길(예던길) 5코스라는 표지석이 서있다. 이곳이 5코스의 출발점이라고 한다.



'한국의누정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192> 영주 영주동 반구정(伴驅亭) 230308 (18) | 2023.05.18 |
---|---|
<한국누정191> 영주 구성공원 가학루(駕鶴樓) 230308 (12) | 2023.05.16 |
<한국누정189> 안동 예끼마을 용암정(龍岩亭) 230307 (45) | 2023.04.27 |
<한국누정188> 안동 군자마을 침락정(枕洛亭) 230307 (48) | 2023.04.23 |
<한국누정187> 안동 군자마을 탁청정(濯淸亭) 230307 (45) | 2023.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