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상북도 상주시 이안면 함창로 41-61 (가장리 230-1)
건축시기 : 조선 중종 때(1506년) 건축, 1780년대 개축
문화재지정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1호
답사일자 : 2023년 5월 1일, 맑음
쾌재정(快哉亭)은 상주군 이안면 가장리에 있는 정자이다. 조선초기의 문신이며 문장가, 중종반정의 공신으로 인천군(仁川君)에 책봉되었던 나재 채수(懶齋 蔡壽,1449~1515)가 중종반정 이후 이조참판직에서 물러나 낙향하여 지은 정자이다. 이세택, 이천섭, 조석철, 류재규, 정종로, 김한동 등 당대 문인들이 이곳에서 도의를 토론하고 학문을 닦았다. 또한 채수는 이곳에서 최초의 한글소설 <설공찬전>을 저술했다.
건물은 이안천과 주변 풍경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산꼭대기에 있는데, 임진왜란 때 없어진 것을 후손인 채헌(1715~1795)이 새로 지은 것이다.
티맵은 이곳을 안내해주지 못하고 동네 가운데를 뺑뺑 돌다가 돌아나오지도 못하는 애를 먹인다. 카카오맵을 이용하면 아래 사진의 뚝방길로 안내하고 뚝방길 끝에 있는 얕은 산정으로 안내한다. 산정에 있는 정자까지 올라가 정자 앞에서 차를 돌리면 된다.




건물은 앞면이 3칸, 옆면이 2칸이고, 내부에 마루를 깔고 나무로 짠 창과 문을 달았다. 활처럼 크게 휜 지붕처마를 하였으며 둥근 기둥 위에 처마 무게를 받치는 대들보와 처마도리의 짜임새는 이익공이다. 기둥 사이에는 활짝 핀 꽃을 판자에 새긴 화반, 대들보와 종보와 함께 도리가 5줄로 짜인 오량가 형식 등이 돋보인다. 쾌재정은 최초의 한글소설인 <설공찬전>이 지어진 역사적 장소이면서 18세기 누각과 정자의 건축 특성을 잘 간직하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설공찬전>은 당시 훈구대신과 신진사류의 갈등이 본격화되는 정치적 상황에서 저승을 다녀온 주인공 설공찬이 당시의 정치적 인물에 대한 염라대왕의 평을 소설화한 작품이다. <홍길동전> 보다 100년 앞선 최초의 한글소설이었지만, 당시 집권세력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 작품이어서 채수는 교수형에 처해질 뻔 했으나 중종의 배려로 파직만 되고 책은 금지되어 소각되었으나 필사본이 민중에게 널리 퍼져 읽혔다고 한다.



'한국의누정 > 대구.경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04> 상주 경천대 무우정(舞雩亭) 230501 (50) | 2023.06.14 |
---|---|
<한국누정203> 상주 청간정(聽澗亭) 230501 (51) | 2023.06.12 |
<한국누정201> 상주 대산루(對山樓)와 계정(溪亭)(보물) 230501 (49) | 2023.06.08 |
<한국누정200> 의성 영귀정(詠歸亭) 230430 (52) | 2023.06.06 |
<한국누정199> 의성 관수루(觀水樓) 230430 (52)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