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 Zucc.) Maxim
분류 : 마편초과 누린내풀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노린재풀, 구렁내풀
꽃말 : 내 이름을 기억하세요.
원산지 : 한국
서식지 : 경기이남의 산과 들
개화시기 : 7 ~ 8월, 푸른빛을 띈 자주색
잎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8-13cm 폭 4-8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나며 방형(方刑)으로 모여난다.
- 꽃은 벽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형으로 성기게 달리고 각 엽액의 화서는 긴 화경이 있으며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화관은 통상(筒狀) 순형(脣刑)이며 통부가 장형이고 길게 나오며 상순은 도란형이고 4개의 열편이 있으며 하순은 대단히 크고 가운데 조각은 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처음에는 길이 2-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6mm이며 각 열편은 작은 종형(鐘刑)이고 2강수술이 화후(花喉) 하부에 달리며
- 열매는 꽃받침보다 짧으며 익으며 4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4-4.5mm로서 도란형이며 능선이 없고 표면에 그물눈 무늬와 선점이 있다.
- 높이 1m 내외이다.
식물 전체에서 비릿하고 역한 누린내가 나기 때문에 누린내풀이라고 이름 붙였다.
꽃의 모양은 어사화를 닮아서 고급스러운데 누리장나무 보다도 훨씬 역하고 강한 냄새가 나고 만지면 손을 씻어도 냄새가 잘 지지않는다.
누린내풀 ( 남한산성 2014년 9월 14일 촬영)
누린내풀 ( 천마산 2015년 8월 28일 촬영)
누린내풀 ( 하남시 고골 2017년 9월 4일 촬영)
누린내풀 ( 물향기수목원 2013년 ~ 201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