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Paeonia lactiflora Pall.
분류 : 작약과 작약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수줍음
원산지 : 아시아 (몽골,대한민국)
서식지 : 산지
잎 : 근생엽은 1-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윗부분의 것은 3개로 깊게 갈라지기도 하고 밑부분이 엽병으로 흐른다. 소엽은 피침형 타원형 또는 난형으로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엽병은 엽맥과 더불어 붉은 빛이 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백색 또는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큰 꽃이 1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5개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녹색이고 끝까지 남아 있다. 꽃잎은 10개 정도로서 도란형이며 길이 5cm정도이고 수술은 많으며 황색이다. 자방은 3-5개로서 털이 없고 짧은 암술머리가 뒤로 젖혀진다
줄기 : 높이 50-80cm이고 곧게 선다.
작약 (인천대공원 2015년 5월 29일 촬영)
작약 (서울대공원 2017년 5월 21일 촬영)
작약 (서을 대공원 장미원 2018년 5월 22일 촬영)
백작약
학명 : Paeonia japonica (Makino) Miyabe & Takeda
분류 : 작약과 작약속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깊은 산 골짜기
꽃말 : 수치
잎 : 잎은 3-4개가 호생하며 엽병이 길며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긴 타원형이거나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8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앞면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빛이 돌며 털이 없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백색이며 원줄기 끝에 한 송이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3개이며 난형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5-7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2.5-4cm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고 자방은 3-4개이며 암술대는 뒤로 젖혀진다.
줄기 : 높이 40-50cm이고 밑부분이 비늘같은 잎으로 싸여 있다.
백작약 (경남 함양 2013년 4월 28일 촬영)
백작약 (국립수목원 2016년 4월 29일 촬영)
백작약 (강원도 함백산 2018년 5월 22일 촬영)
백작약 (국립수목원 2020년 5월 6일 촬영)
산작약
학명 : Paeonia obovata Maxim.
분류 : 작약과 작약속 여러해살이풀
이명 : 민산작약, 산함박꽃, 적작약
원산지 : 한국 특산종
분포 : 제주 전남 전북(덕유산) 경북(대구 금오산) 강원 경기(광릉) 평북 함남 함북에 야생한다.
보호식물 : 멸종위기2급
잎 : 잎은 3-4개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2회 3출하며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5-12cm 폭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백작약과 달리 털이 있다. 앞면의 엽맥은 약간 파여 들어 있으며 뒷면은 엽맥이 돋아나 있다.
꽃 : 꽃은 5~6월에 피고 지름 4-5cm로서 적색이며 원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꽃받침잎은 3개이며 난형이고 크기가 서로 다르다. 꽃잎은 적색이며 5-7개로서 도란형이고 길이 2-3cm이다. 수술은 많으며 꽃밥은 길이 5-7mm이다. 자방은 3-4개이며 암술은 3-4개이고 암술대는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
열매 :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2-3cm로서 벌어지면 안쪽이 붉어지고 가장자리에 자라지 못한 적색종자와 익은 흑색종자가 달린다
줄기 : 길이 40-50cm로서 곧게 서고 전체에 흰색가루가 덮여 있다.
깊은 산 숲 속에 매우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 끝에 1개씩 달리는 꽃은 적색이며 암술대가 길게 자라서 뒤로 말린다.
산작약은 작약과 비슷하나 소엽의 수가 9개 이하이며 꽃이 줄기 끝에 하나씩 달리며 완전히 벌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소엽의 수가 9개 이상이며 꽃이 줄기 끝에 여러 개가 모여 달리며 완전히 벌어지는 작약과 구별할 수 있다.
‘백작약’과 비슷하지만 꽃이 연한 홍색이며 암술머리가 다소 길고 꼬였으며 잎은 뒷면에 대개 털이 있고 골돌과는 퍼졌다.
산작약 (과천 야생화자연학습장 2020년 5월 17일 촬영)
산작약 (황학산수목원 2020년 5월 20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