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Gagea lutea (L.) KerGawl.
분류 : 백합과 중의무릇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일편단심
서식지 : 산지
분포지 : 한국(중부 이북), 일본, 만주, 중국, 사할린, 동시베리아, 유럽
잎 : 기부에서 난 잎은 1개이고 길이 15-30cm 폭 5-9mm로서 어느 정도 육질이며 약간 안쪽으로 말리고 밑부분이 화경(花莖)을 감싼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5-25cm이고 엽병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으며 끝에 3-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린다. 화경 상단부에 두 장의 잎이 붙어 있는데 이것은 꽃봉오리를 보호하기 위한 포엽이다. 포는 2개이며 밑부분의 것은 길이 4-8cm이다. 꽃은 황색으로서 4-5월에 피고 화피열편은 6개이며 긴 타원형이고 길이 12mm정도로 뒷면에 녹색이 돈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다. 꽃은 볕을 쬐면 피고 어두운 곳에서는 오무린다.
줄기 : 높이 15-20cm이고 1개의 잎이 달리며 인경은 길이 1.5cm로서 난형이고 갈색이다.
반도중무릇,애기물구지,조선중무릇,중무릇,참중의무릇이라고도 합니다
다년초이며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에서도 자라고 우리나라에서는 중부이남 지역에서만 자랍니다.
빛에 민감하여 아침, 저녁이나 날씨가 흐린 날에는 꽃잎을 열지 않습니다.
잎은 길쭉하여 날렵하게 생겼고 꽃은 별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여섯 개의 꽃잎이 활짝 열리면 마치 숲에서 노란별이 반짝이는 듯합니다.
서양에서는 ‘베들레헴의 노란 별(YellowStarofBethlehem)'이라고 부르는 꽃이랍니다.
성탄의 밤에 동방박사들을 아기예수에게로 인도한 바로 그 별 말입니다
꽃이 피면 꽃이 무거운지 드러눕고 여러 송이 꽃들은 각자 다른 방향을 보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에 제대로 담아내기가 여간 쉽지 않습니다.
중의무릇 ( 축령산 2015년 4월 11일 촬영)
중의무릇 (운길산 2017년 4월 8일 촬영)
중의무릇 (광덕계곡 2017년 4월 15일 촬영)
애기중의무릇
학명 : Gagea hiensis Pascher
분류 : 백합과 중의무릇속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1개만이 근생하며 길이 10-20cm 폭 2mm로서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약간 안쪽으로 말린다.
꽃 :
꽃은 4-5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8-15cm로서 윗부분에 2개의 포엽과 2-5개의 꽃이 위를 향해 산형으로 달린다. 밑부분의 포는 길이 2-3cm로서 피침형이며 밑부분이 넓고 윗부분의 것은 길이 7-15mm이며 소화경은 길이 1-2.5cm이다. 화피열편은 6개로서 황색이고 선상 타원형이며 길이 7-9mm이고 둔두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열편 밑부분에 붙어 있고 보다 짧다. 암술 1개이고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애기중의무릇 (보현산 2014년 4월 26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