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L.) L.

분류 : 백합과 원추리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기다리는 마음, 하루만의 아름다움

서식지 : 전국각지, 산지의 양지바른 곳

 

잎 : 잎은 칼처럼 생겼는데 길이 60-80cm 폭 1.2-2.5cm로서 밑에서 2줄로 대생하고 끝이 둥글게 뒤로 젖혀지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 : 화경(花莖)은 높이 1m로서 끝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6-8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6-8월경에 개화한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2-8cm로서 윗부분의 것은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밑부분이 화축에 붙어 있으며 꽃은 등황색이고 길이 10-13cm이며 통부는 길이 1-2cm이다. 내화피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이며 폭 3-3.5cm로서 가장자리가 막질이다. 수술은 6개이고 통부 위 끝에 달리며 꽃잎보다 짧고 꽃밥은 선형으로

줄기 : 잎과 따로 구분되지 않음.

 

꽃이 피어 단 하루밖에 가지 않는다는 원추리, 그래서 이름도 Day lily, 하지만 한 포기에서 꽃대와 꽃봉오리가 계속 만들어지므로 포기로 보면 20-30일 정도 꽃을 볼 수 있다. 자생화들이 주변에 많이 쓰이면서 도로변에 많이 심고있는 화종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요즘은 자동차로 달리다 보면 어디서든 흔히 볼 수 있다.

원추리는 예로부터 가정의 장독 뒤나 화단에 심어 관상하거나 꽃꽂이로 이용되어 왔다. 건조나 햇볕에 강하고 분진, 매연 등 공해에도 강해 도로변 관상용으로 요즘은 널리 쓰이고 있다. 이른 봄에 어린 싹을 잘라 ‘넘나물’이라 하여 시장에 나오며, 대형 마켓에 가면 쉽게 구할 수 있다.

 

 

원추리 (안면도 2015년 6월 19일 촬영)

 

 

 

 

 

 

 

원추리 (무의도 2015년 7월 7일 촬영)

 

 

 

 

 

 

원추리  (태안군 구례포해변  2017년 6월 10일 촬영)

 

 

 

 

 

원추리 (노고단  2004년 8월 3일 촬영)

 

 

 

 

 

 

 

 

원추리  (관악산  2017년 7월 5일 촬영)

 

 

 

 

 

 

 

 

 

 

 

노랑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thunbergii Baker

분류 : 백합과 원추리속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2줄로 돋고 부채처럼 퍼지지만 거의 곧추서며 윗부분만이 뒤로 처지고 길이 60-90cm 폭 20-40mm로서 선형이며 휘어져 밑으로 드리운다.

꽃 : 6-7월에 잎 중앙에서 화경(花梗)이 나와 1m이상 자라면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꽃은 등록색으로서 오후 4시경부터 피기 시작하여 아침 11시 경에는 거의 쓰러진다. 포는 선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7.5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통부는 길이 1.3-2.8cm 지름 7.5-10cm이다. 외화피는 도피침형 둔두로서 끝이 약간 파지며 내화피는 주걱형 비슷하고 폭 2.8cm이내로서 끝이 둔하며 약간 파진다. 수술은 6개이고 꽃덮이보다 짧다.

 

 

노랑원추리  (국립수목원 2013년 7월 9일 촬영)

 

 

 

 

 

 

노랑원추리 (물향기수목원 2014년 5월 29일 촬영)

 

 

 

 

 

 

 

노랑원추리 (한택식물원  2014년 7월 22일 촬영)

 

 

 

 

 

 

 

왕원추리

 

학명 : Hemerocallis fulva f. kwanso (Regel) Kitam.

분류 : 백합과 원추리속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대생하여 얼싸안으며 선형으로 길이 40~90cm 나비 2~4cm이고 끝은 활처럼 뒤로 굽는다.

꽃 :


꽃은 7~8월에 등황색 또는 등적색으로 피고 화경 끝이 2개로 갈라져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수술의 전부 또는 일부가 화피로 되어 겹꽃이고 소화경은 길이 2cm 정도이며 포는 난상 3각형으로 길이 4~10mm이다. 화통은 길이 2cm이고 화피 열편은 길이 7cm로 옆으로 퍼진다. 화경은 높이 80~100cm이고 소수의 짧은 포가 드문드문 난다

 

 

왕원추리 (국립수목원 2013년 7월 19일 촬영)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깨비가지  (0) 2016.06.05
노란장대  (0) 2016.06.05
금계국  (3) 2016.06.04
갯완두  (0) 2016.06.04
광대수염  (0) 2016.0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