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Zinnia violacea Cav.
- 국화과
- 백일홍속
- 백일초
- 꽃말 : 그리움, 수다
- 원산지 : 북아메리카 (멕시코)
- 서식지 : 배수가 잘 되고 부식질이 많은 참흙
-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털이 나서 거칠다. 끝이 뾰족하며 밑은 심장 모양이다.
- 꽃은 6∼10월에 피고 두화는 긴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은 지름 5∼15cm이고 꽃색은 흰색, 노란색, 주홍색, 오렌지색, 엷은 분홍색 등 여러 가지이다. 총포조각은 둥글고 끝이 둔하며 윗가장자리가 검은색이다.
- 열매는 수과로서 9월에 익는다. 씨를 심어 번식한다.
- 높이는 60∼90cm이다.
(야생화클럽 웹식물도감에서 인용)
- 원래 멕시코의 잡초였으나 원예종으로 개량·보급되었다.
- 꽃은 6~10월에 줄기 끝에서 지름이 5~15㎝쯤 되는 두상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100일 정도 피므로 백일홍이라 한다.
- 백일홍은 꽃의 크기와 생김새 및 색에 따라 여러 품종으로 나뉘며, 꽃의 크기가 15㎝ 정도 되는 것을 대륜계(大輪系), 4~5㎝ 정도 되는 것을 중륜계, 그리고 3㎝ 정도 되는 것을 소륜계라 하고, 꽃의 생김새에 따라 다알리아처럼 생긴 다알리아형, 선인장처럼 생긴 캑터스형, 꽃에 무늬가 있는 무늬천엽형, 꽃이 공처럼 둥그렇게 달리는 폼폰형으로 나뉜다.
- 배롱나무를 나무백일홍[木百日紅]이라 부르기도 하고 특히 그 꽃만을 가르켜 백일홍이라고 하기도 하나 백일홍과 배롱나무는 다른 식물이다.
- (다음백과에서 인용)
백일홍 (평창읍 백일홍 축제 2018년 9월 28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