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Epipactis thunbergii A. Gray
분류 : 난초과 닭의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숲속의 요정
분포 : 한국, 중국, 만주 ,일본, 우수리강 유역
서식지 : 중부 이남의 산골짜기 양지바른 습지에서 자란다
개화시기 : 6 ~ 7월 .
꽃의 모양이 닭의 주둥이를 닮았다고 닭의난초라는 이름이 붙었다.
닭의난초속으로 닭의난초, 청닭의난초, 부전란, 임계청닭의난초, 흰닭의난초의 다섯가지가 있다고 한다.
잎 : 잎은 6~12장 정도이고 좁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길이 6~13cm 나비 3~5cm로서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꽃 : 꽃은 6-7월에 피고 황갈색이며 포는 꽃보다 짧고 꽃받침잎은 긴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2-15mm로서 녹갈색이 돈다. 꽃잎은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받침과 길이가 같으며 등황색이고 순판은 백색으로서 꽃잎과 길이가 같으며 안쪽에 홍자색 반점이 있다. 상하 순판 사이는 다소 관절로서 2개로 갈라지고 윗 순판에 종선이 3개 있으며 밑 순판은 안쪽이 오목하게 들어간다. 자방은 대가 있다.
줄기 : 높이 30-70cm이며 털이 없고 매끄러우며 기부에 3-4개의 초상엽이 있으며 자줏빛이 돈다.
무의도 닭의난초 (2014년 6월 25일 촬영)
태안군 구례포해변의 닭의난초 (2015년 7월 3일 촬영)
닭의난초 ( 구례포해변 2016년 6월 25일 촬영)
청닭의난초
학명 :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분류 : 난초과 닭의난초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7 ~ 8월
동아시아 특산의 북방계식물로서 석회질 암석지대에 주로 서식한다.
잎 : 줄기 밑부분에 달린 1-2개의 잎은 초상이고 그 위의 것은 난상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길이 7-12㎝ 나비 2-4㎝ 이고 가장자리와 맥위에 털같은 돌기가 있다.
꽃 : 꽃은 7-8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한쪽으로 치우쳐서 총상화서로 달리며 화서에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다. 포는 잎같고 꽃보다 길다. 꽃받침잎은 반쯤 벌어지며 긴 난형이고 길이 1㎝정도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잎은 난형이고 다소 짧다. 순판은 연녹색이며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밑순판은 반구상 타원형으로서 안쪽이 갈색이며 윗순판은 삼각형이고 다소 뾰족하다. 자방은 대가 있다.
줄기 : 높이 30-70cm이고 꼬불꼬불한 갈색 털이 있으며 5-7개의 잎이 달린다
남한산성 청닭의난초 (2014년 6월 29일 촬영)
남한산성 청닭의난초 (2015년 6월 29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