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향동 151, 수원화성 내
문화재 지정 : 보물 제1709호(2011.3.3 지정)
촬영 일자 : 2022년 4월 27일, 맑음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은 1794년(정조 18)에 건립되었으며, 화성의 동북각루로서 전시에 주변을 감시하고 군사를 지휘하는 지휘소이지만 주변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정자의 기능을 함께 지니고 있다. "꽃을 찾고 버들을 따라 노닌다(訪花隨柳)"라는 뜻을 지닌 방화수류정은 독특한 평면과 지붕형태 때문에 바라보는 위치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화성에서 가장 뛰어나며 다른 성곽에서는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건축물로 평가되고 있다.



방화수류정의 평면은, 동서 방향으로 3칸인데 가운데 칸에 온돌을 놓았고, 이 방에서 북으로 한 칸을 붙이고 남으로 반 칸을 물렸다. 그리고 서쪽의 한 칸은 또 길게 두 칸을 끌어내었다. 이렇게 평면이 복잡하다보니 지붕은 더욱 복잡해진다. 팔작지붕이 모여서 열 십자(+) 형태가 되면서 모임지붕처럼 되어 가운데에 절병통을 얹어 장식했고, 서쪽의 남쪽으로 길게 내려간 지붕도 팔작지붕으로 마감하였다.





평면은 "ㄱ"자형을 기본으로 북측과 동측은 "⎍"형으로 돌출되게 조영하여 사방을 볼 수 있도록 꾸몄으며, 1848년(헌종 14년)에 중수되었고, 주변 감시와 지휘라는 군사적 목적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조선시대 정자 건축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방화수류정이 서있는 성곽 아래에는 '용연(龍淵)'이라는 이름의 연못을 조성하고 둘레에 버드나무를 심어 경관을 아름답게 꾸몄다. 금강산 구룡연을 비롯해서 전국의 이름난 명소에 용연이라는 명칭이 두루 쓰였고 갖가지 전설이 있다. 화성의 용연은 용머리처럼 생긴 용두바위에서 유래했다. 용두 바위 위에 있는 방화수류정은 '용두각'이라고도 부른다.















방화수류정과 성벽으로 이어지는 북쪽에 '화홍문(華虹門)'을 건설하고 그 아래로 수문과 수로를 만들어 홍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관련 글 참조 : https://blog.daum.net/ygkgyou/1258?category=1991630#none
<국내성지032> 북수동성당과 수원화성 전역, 수원순교성지 181124
수원 성지는 정조 대왕의 정치 무대로 다산 정약용(사도 요한)이 설계한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수원 화성 전역이다. 수원 화성에서 박해 시대 동안 무명 순교자를 비롯한 2천여 명 이상이 순교
blog.daum.net
'한국의누정 > 서울.인천.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040> 수원 축만제 항미정(杭眉亭) 220427 (0) | 2022.05.06 |
---|---|
<한국누정039> 수원 만석공원 영화정(迎華亭) 220427 (0) | 2022.05.04 |
<한국누정037> 수원 화성행궁 신풍루(新豊樓)와 정자(4) 220427 (0) | 2022.04.30 |
<한국누정036> 용인 조광조 사은정(四隱亭) 220325 (0) | 2022.04.28 |
<한국누정035> 양평 세심정(洗心亭) 220419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