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남창동 6-2)
건립시기 : 1796년(정조 20) 창건, 2002년 복원
문화재 지정 : 사적 제478호
촬영 일자 : 2022년 4월 27일, 맑음
화성행궁은 조선 정조 13년(1789)에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을 수원부 읍치 자리로 옮기고, 원래 수원부 읍치를 팔달산 아래로 옮겨 오면서 관청으로 사용하기 위해 건립되었다. 왕이 수원에 내려오면 머무는 행궁으로도 사용했다. 정조는 수원도호부를 화성유수부로 승격시켜 위상을 높이는 한편, 1795년 화성행궁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치르기 위하여 건물의 이름을 바꾸거나 새로 지었다. 1796년에 전체 600여 칸 규모로 완공되었다.
화성행궁은 조선시대 전국에 조성한 행궁 가운데서 가장 돋보이는 규모와 격식을 갖추었으나, 1911년부터 일제에 의해 병원과 경찰서로 쓰이기 시작하면서 건물이 파괴되어, 현재는낙남헌과 노래당만 본래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1996년부터 복원사업을 시작해 2002년에 중심권역의 복원공사를 마쳤다.

화성행궁 앞에는 수령 400년의 느티나무 세그루가 서있다. 이 느티나무는 궁궐의 조성제도에 의해 品자 형태로 심어진 것이다. 영의정을 비롯한 삼정승이 이 나무 아래에서 어진 사람을 맞이하여 올바른 정치를 베푼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풍루(新豊樓)
건물규모 및 구조 : 정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목조 2층 와가
일제강점기 훼손되었던 것을 화성행궁 복원 사업으로 다시 지음(2002)
신풍루(新豊樓)는 화성행궁의 정문이다. 처음에는 진남루라 부르다가 1795년에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열면서 이름을 신풍루로 바꿨다. 신풍루는 중국 한나라를 세운 유방의 고향인 풍패(豊沛)에서 따온 이름으로 제왕의 고향 풍패지향(豊沛之鄕)으로서 화성을 자리매김하고자 했던 정조의 의지가 반영되어 있다.




건물은 2층의 누각 구조로 아래층은 출입문으로 쓰고, 위층에는 큰 북을 두어 군사들이 주변을 감시하고 신호를 보내는 용도로 사용했다. 문루 좌우에는 행랑을 두었고, 양쪽 끝에는 군영을 배치해서 경호 체제를 갖췄다. 정조는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때 신풍루에서 수원 주민들에게 쌀을 나누어 주는 행사를 베풀었다.



좌익문과 중양문을 지나면 주정전인 봉수당에 이른다.


봉수당(奉壽堂)
봉수당은 임금 행차시 정전으로 쓰인 건물로 중심 4칸을 왕권을 상징하는 편전공간으로 연출하였다. 을묘원행시 이곳은 혜경궁 홍씨의 진찬연이 열린 공간으로 이때 정조는 '만년의 수를 받들어 빈다'는 의미의 봉수당이라는 당호를 지어 조윤형으로 하여금 현판을 쓰게 하면서부터 이 건물이 봉수당이라 불리게 되었다.








유여택(維與宅)
유여택은 정조가 신하들의 보고를 받고 과거 시험에 합격한 무사들에게 상을 내리기도 했던 곳이다. 1800년 정조가 승하한 뒤에는 현륭원 재실과 창덕궁 주합루에 있던 정조의 초상화를 모시는 공간으로도 사용되었다.



낙남헌(洛南軒)
건축시대 : 정조 18년(1794)
경기도 기념물 65호(95.4.24)
낙남헌은 화성행궁에서 공식 행사나 연회를 열 때 사용하는 건물이다. 중국 한나라를 세운 유방이 부하들 덕분에 나라를 세울 수 있었음을 감사하며 낙양의 남궁에서 연회를 베풀었다는 이야기를 본떠서 이름을 지었다. 정조는 1795년 을묘원행 당시 낙남헌에서 수원 백성들을 위해 잔치를 베풀고, 무과 시험을 치르고 상을 내리는 등 다양한 행사를 열었다.




노래당(老來堂)
건축시기 : 정조 18년(1794)
노래당은 낙남헌에 잇대어서 지은 화성행궁의 별당이다. 정조는 화성에서 노년을 보내기 위해 '늙음이 찾아온다'라는 뜻을 지닌 노래당을 짓고, 그 뜻을 종종 신하들에게 말했다. 노래당은 아들의 나이가 15세가 되면 왕위를 물려주고 화성에 내려와 지내려 했던 정조의 뜻이 담긴 건축물이다.





득중정(得中亭)
건축시기 : 정조 18년(1794), 2002년 복원
득중정은 활을 쏘는 정자로서 조선 정조 14년(1790)에 지었다. '활을 쏘아 맞으면 제후가 될 수 있고, 맞지 않으면 제후가 될 수 없다 射中 則得爲諸侯 射不中 則不得爲諸侯' 라는 구절을 본떠서 이름을 지었다. 정조는 수원에 올 때면 득중정에서 활을 쏘았다. 1795년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 때 신하들과 활을 쏘고 매화포를 구경한 모습이 그림으로 남아 있다.



후원 뒷산을 오르면 미로한정이 있다.



미로한정(未老閑亭)
건물규모 및 구조 : 1칸 육각정, 육모 모임지붕 와가
미로한정(未老閒亭)은 화성행궁 후원에 세운 소박한 정자이다. 조선 정조 13년(1789) 수원읍을 팔달산 아래로 이전한 후에 지었다. 미로한정이란 이름은 '늙기 전에 한가로움을 얻어야 진정한 한가로움이다.'라는 시구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들 순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수원에 내려와 한가하게 노년을 즐기고자 했던 정조의 뜻이 담겨 있다.
화성 축성을 막 시작한 1794년 정월, 정조는 미로한정에 올라가 허허벌판이던 수원부에 1천여 집이 들어서 번성한 모습을 바라보며 관리들을 칭찬했다. 정조 재위 기간 동안에 활약한 화가 김홍도는 미로한정 주변에 가을 국화가 가득한 모습을 '한정품국(閒亭品菊)'이라는 그림으로 남겼다.








'한국의누정 > 서울.인천.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039> 수원 만석공원 영화정(迎華亭) 220427 (0) | 2022.05.04 |
---|---|
<한국누정038> 수원 화성 방화수류정(訪花隨柳亭)(보물) 220427 (0) | 2022.05.02 |
<한국누정036> 용인 조광조 사은정(四隱亭) 220325 (0) | 2022.04.28 |
<한국누정035> 양평 세심정(洗心亭) 220419 (0) | 2022.04.25 |
<한국누정034> 양평 택승정(澤升亭) 220419 (0) | 2022.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