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Aster yomena (Kitam.) Honda
분류 :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그리움
분포지 : 한국, 아시아, 유럽
서식지 : 전국 어디서나 흔한 꽃, 습기가 있는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 30 ~ 100cm 정도
개화시기 : 7 ~ 10월, 연한 보라색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위쪽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30-100cm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마른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8-10cm, 폭 3cm쯤, 가장자리에 거친 톱니가 있다. 꽃은 가지와 줄기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며, 연한 보라색이다. 머리모양꽃은 지름 2.5cm쯤이다. 모인꽃싸개는 반구형, 조각이 3줄로 붙는다. 관모양꽃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수과이며, 난형, 털이 있다. 우산털은 붉은빛이 나며, 길이 0.5mm쯤이다.
쑥부쟁이, 개쑥부쟁이, 구절초, 개미취, 벌개미취, 산국, 감국 등을 통틀어서 들국화라 부른다. 쑥부쟁이, 구절초, 벌개미취는 꽃모양까지 비슷해서 구분이 어렵다.
쑥부쟁이 전설
먼 옛날 어느 마을에 가난한 대장장이와 그의 딸들이 오순도순 함께 살았습니다.
하지만 대장장이의 살림은 매우 궁핍하여 봄이 오면 늘 밥을 굶기 일쑤였습니다.
대장장이의 맏딸은 어린 동생들을 굶기지 않기 위해 해마다 봄이 되면 산과 들로 쑥을캐러 다녔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불쟁이(대장장이)의 딸이 쑥을 캐러 간다하여 대장장이의 맏딸을 쑥부쟁이라고 불렀습니다.
어린 동생들을 위해 산 속을 헤매던 어느 봄날 그녀는 깊은 산속에서 위험에 처한 사냥꾼 청년을 구해주었고
그 인연으로 그와 깊은 사랑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사랑하던 사냥꾼 청년이 잠시 고향에 다녀오겠다며 떠났지만 결국 돌아오지 않았고,
청년을 기다리던 그녀는 결국 절벽에 떨어져 스스로 죽음을 선택하고 말았습니다.
그녀가 죽은 자리에서는 이름 모를 꽃이 피기 시작하였는데,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피어난 꽃을 쑥부쟁이라고 불렀답니다.
평창군 대덕사 쑥부쟁이 (2013년 9월 15일 촬영)
쑥부쟁이 (인천시 영종도 용유동 오성산 2017년 10월 16일 촬영)
쑥부쟁이 (오성산 2019년 10월 1일 촬영)
가는쑥부쟁이
학명 : Aster pekinensis (Hance) Chen
- 국화과
- 참취속
- 가는쑥부장이 가는잎쑥부장이 가는잎쑥부쟁이
- 다년초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경생엽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고 길이 25-40mm, 나비 4-6mm로서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며 양면에 짧은 털이 많고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청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뒤로 말리고 가지의 잎은 선형으로서 점차 작아진다.
- 높이 30-7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 꽃은 8-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며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지름 2cm이며 총포는 반구형으로서 길이 4mm, 지름 7-8mm이고 포편은 3줄로 배열되며 피침형으로서 뒷면에 선점이 있고 끝이 뾰족하며 외편이 내편보다 약간 짧다. 설상화는 길이 11mm, 나비 2.5mm이다.
- 수과는 도란형이며 길이 2mm, 나비 1.5mm로서 선점이 있고 관모는 불완전하며 길이 1/4-1/2mm이다. 열매는 10-11월에 결실한다.
- 높이 30-70cm
- 가는쑥부쟁이 ( 정선군 동강 귤암리 2016년 9월 24일 촬영)
개쑥부쟁이
학명 :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분류 :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7 ~8월, 담자색
잎 :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둔두(鈍頭) 예저(銳底)이며 길이 5~6cm, 나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엽병(葉柄)이 길다. 경생엽(莖生葉)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나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엽병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고 가지의 잎은 길이 10~15mm, 나비 3mm정도이다.
꽃 : 7~8월에 피며 기이 7~8mm, 지름 15~18m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포(苞)는 3줄오 배열되며 선상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화관(花冠)은 길이 21~24mm, 나비 2.5~4mm이며 남자색(藍紫色)이다.
줄기 : 높이 35~50cm이고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며 종선(縱線)과 털이 있다.
화악산 개쑥부쟁이 (2013년 9월 20일 촬영)
황매산 개쑥부쟁이 (2014년 10월 3일 촬영)
개쑥부쟁이 (황매산 2015년 10월 3일 촬영)
개쑥부쟁이 ( 정선군 쇄재 2016년 9월 24일 촬영)
개쑥부쟁이 (물안개공원 2019년 9월 28일 촬영)
까실쑥부쟁이
학명 : Aster ageratoides Turcz.
분류 :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8 ~ 10월, 자주색
잎 : 뿌리잎과 줄기 밑 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긴 타원 모양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다. 잎의 크기는 길이 10~14cm, 나비 3~6cm인데 가운데에서 밑 부분이 갑자기 좁아져 잎자루가 된다.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밑쪽에 3개의 맥이 있다.
꽃 : 8~10월에 가지 끝에서 자줏빛 두상화가 산방 꽃차례로 달려 피는데 가장자리에 돌려난 혀꽃은 자줏빛이고 한가운데 뭉쳐난 대롱꽃은 노란색이다. 양성화이다. 꽃턱잎은 3줄로 배열되어 있고 홍자색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나 있다.
화악산 까실쑥부쟁이 (2013년 9월 20일 촬영)
화악산 까실쑥부쟁이 (2014년 9월 12일 촬영)
화악산 까실쑥부쟁이 (2015년 8월 17일 촬영)
까실쑥부쟁이 (대덕사 2015년 9월 19일 촬영)
까실쑥부쟁이 (화악산 2016년 8월 13일 촬영)
까실쑥부쟁이 ( 정선군 쇄재 2016년 9월 24일 촬영)
단양쑥부쟁이
학명 : Aster altaicus var. uchiyamae Kitam.
분류 :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8 ~ 9월, 자주색
단양 근처의 냇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이년초로서 초년도의 줄기는 높이가 15cm 정도에 달하고 잎이 총생하며 화경은 전년도의 줄기에서 계속 자라고 갈라져 사방으로 퍼진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잎자루가 없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털이 다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8~9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두화, 화경에 선상의 잎이 많이 달리며 총포는 반구형이고 포편은 2줄로 배열되고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털이 다소 있다. 설상화관은 2줄로 달리고 삭과는 편평한 도란형이고 털이 밀생하며 관모는 붉은빛이 돈다. ‘갯개미취’에 비해 잎이 가늘고 총포편은 좁은 장피침형으로 털이 있다.
여주시 강천섬 단양쑥부쟁이 (2014년 9월 20일 촬영)
단양쑥부쟁이 (신구대식물원 2017년 9월 24일 촬영)
미국쑥부쟁이
학명 : Aster pilosus Willd.
분류 : 국화과 참취속 여러해살이풀
원산지 : 북아메리카
개화시기 : 9 ~ 10월, 흰색
일반적인 우리나라 쑥부쟁이에 비해 꽃이 작고 잎도 아주 가는 모양을 하고 있어 구분이 쉽다.
다년생 초본으로 종자나 근경으로 번식하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50~100cm 정도로 가지를 많이 쳐서 원추형으로 되며 작은 가지들은 한쪽을 향하여 배열하며 털이 약간 있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주걱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와 털이 있다. 어긋나는 경생엽은 잎자루가 없고 잎몸은 길이 3~10cm, 너비 3~8mm 정도의 선상 피침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다.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송곳형으로 다수 부착한다. 8~9월에 지름 10~17mm 정도의 많은 두상화가 모여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15~25개의 설상화는 백색 또는 엷은 장미색이고 통상화는 황색이다. 수과는 짧은 털이 있고 관모는 백색이다. ‘개쑥부쟁이’와 달리 잎은 좁은 피침형이고 너비 3~8mm 정도이며 위쪽 잎은 톱니가 없고 관모는 길이 3~5mm 정도이다. 관상용으로 심는다.
하늘공원 미국쑥부쟁이 (2013년 9월 23일 촬영)
미국쑥부쟁이 (한탄강 직탕폭포 2015년 9월 29일 촬영)
미국쑥부쟁이 (분당 탄천 2017년 10월 3일 촬영)
미국쑥부쟁이 (물안개공원 2019년 9월 28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