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태인면 태산로 2951 (태창리)
건립시기 : 통일신라 헌안왕(재위 857~861) ?, 조선 숙종 42년(1716)
문화재지정 : 보물(1963.1.21 지정)
답사일자 : 2023년 11월 6일, 비
자연을 벗삼아 쉼터로 사용하고자 지은 피향정(披香亭)은 호남지방에서 으뜸가는 정자 건축이다. 통일신라 헌안왕(재위 857~861) 때 이 고을 태수로 있던 최치원이 세웠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지은 시기는 확실하게 알 수 없다. 기록에 따르면 조선 광해군 때 현감 이지광이 다시 짓고 현종 때 현감 박숭고가 건물을 넓혔으며, 지금 크기로는 숙종 42년(1716) 현감 유근이 넓혀 세웠다고 한다. 그 뒤에도 몇 차례 부분적으로 고쳤는데 단청은 1974년에 다시 칠한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uLtua/btsEdX4RHro/nr21owCPDChWuqzUhKCQ3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0gAve/btsEdKxXz9S/3IJIGBWrt7F226s86Zh1I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vTLK/btsEdImBH1d/Z99sMmAQVahp70Hf8wSI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uM1l/btsEdWLMv8z/eKUznvMuEaam4Wy9IeTGvK/img.jpg)
이 정자는 앞면 5칸, 옆면 4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처마는 겹처마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는 새 부리가 빠져나온 것처럼 꾸민 형태로 간결한 구조를 하고 있다. 건물 4면이 모두 뚫려있어 사방을 바라볼 수 있고 난간은 짧은 기둥을 조각하여 주변을 촘촘히 두르고 있다. 마루 아래에 28개의 원형 돌기둥을 받치고 그 위에 두리기둥을 세웠다.
![](https://blog.kakaocdn.net/dn/bqw2U6/btsEeGPrK3Y/Q3KegbqTYECMhBl7P6Kv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vjRi/btsEhswh39s/6KmAq2I9aEYElHiTFx5o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b3Qr/btsEdNVNkYn/XuyULcabcBWuenOYG4G9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jVbDx/btsEfogGP9F/9qoKWxjQiI27yNOXg6PG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HxZ9g/btsEaXE4nTU/Q4c2sLjy2Iqa1zWoVZ3u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1k9f/btsEf67526s/7jnKutXLoMUiR7dEaNWS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igDT/btsEbbpz6i0/d8h7lhYwwFkzKM8jmbIRD0/img.jpg)
건물 안쪽 천장은 서까래가 노출된 연등천장이지만 천장 일부를 가리기 위해 건물 좌우 사이를 우물천장으로 꾸민 점이 눈길을 끈다. 또한 이 누정을 거쳐간 시인과 선비들의 시가를 기록한 현판이 걸려있어 건물의 품격을 더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r1VKA/btsEdJeOz4Y/aCuljfDWTh38ktsXnGAZ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4C5Y/btsEhsJPM5I/bPHEv2V2Etk2ghvI0E7y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8tbc/btsEdCNxkgA/El9uVYnkdBs9QSjt7Ra1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9Aw7G/btsEfspSFl7/pS3jkC0jw9ULCM7op4tI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FbZG8/btsEfrkbvjH/pIyTE5mrsKVCU8vxCEpET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MybBH/btsEa6BQXuJ/gdT4KNlkcBFTPpKamVQo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tXmuQ/btsEdHVx7m4/1S7pPLykblerMJQDK6Dvlk/img.jpg)
원래 이 정자의 앞과 뒤에 상연지, 하연지라는 연못이 있어 아름다운 경치를 이루었으나, 상연지는 일제 강점기 때 메워지고 현재는 하연지만 남아 있다. 연못에 핀 연꽃의 향기가 주위에 가득하다 하여 이곳의 이름을 '피향정'이라고 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p1bya/btsEbE58Cie/wp69APnitrMnQB7EzUDK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LUhn/btsEhlxfdKj/3YEyNNRoWi3oAajZ4YKU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tUnsj/btsEhGVl8PX/rEeVcP1JKWWJTWR9gy43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PwnN/btsEcpOovbD/3W7C2kvWZvcQMbWWLwqg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5nVrI/btsEdWSyrwi/fNvWMu9DkHkZgzIoDILKo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egZZ/btsEdVe0keT/M3PGkyrNY9lgpNnbKsDrG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YsPO/btsEaVHe3LG/0n8hpIRB2CSVnlGNmleW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YnLf/btsEf4vE02c/RVCDuqXdBF1Bz18vXD41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PJXw/btsEcs5rB8e/aLgOKsy7ewoOC6kHvq1k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1QPnz/btsEdINGspS/rkZJyfvvzx3jzcSMKjrAv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1lsE/btsEeGooIpa/d6UTo8yG07fUrlvflOYGg1/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84> 정읍 내장사 우화정(羽化亭) 231108 (102) | 2024.02.16 |
---|---|
<한국누정283> 정읍 군자정(君子亭) 231106 (115) | 2024.02.10 |
<한국누정281> 임실 양요정(兩樂亭) 231104 (121) | 2024.02.01 |
<한국누정280> 임실 오괴정(五槐亭) 231104 (127) | 2024.01.29 |
<한국누정279> 임실 광제정(光霽亭) 231104 (122) | 2024.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