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도감

산부추

학명 : Allium thunbergii G. Don

분류 :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이풀 알뿌리식물

꽃말 : 신선,  보호

분포지 : 한국, 일본, 중국

서식지 : 전국각지, 산지

키 : 30 ~ 60 cm


잎 : 잎은 2~5mm정도의 가는 잎 2~3개가 위로 퍼진다. 흰색이 도는 초록색으로 단면은 삼각형이다

꽃 : 꽃은 8~9월에 홍자색으로 꽃자루 끝에 산형으로 동그랗게 달린다. 꽃 껍질 모양은 넓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작은 꽃대는 길이 1~1.5cm정도이다. 꽃잎 꽃받침은 4~5mm정도의 타원형으로 6장이다. 수술은 6개로 길고 밑부분이 넓게 퍼진다. 거치가 있다.


잎을 비벼서 향기를 맡으면 부추향이 나며 서식지가 산에서 자라기 때문에 산부추라고 이름 붙였다.

부추를 부르는 명칭은 지역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강원도 남부지역이나 경상도 쪽에서는 정구지 라고도 하며 솔 이라고도 하는 곳이 있다


정구지라는 명칭에 얽힌 이야기

정월부터 9월까지 먹으면 약이되는 풀(지초~芝草)이라 하여 정구지 (正九芝)

꾸준히 잘 먹으면 구순가지 건강하게 살 수 있다 하여 정구지 (正九芝)

장기적으로 취식을 하면 부부간의 정이 오래 간다 하여 정구지 (情久芝)

부부간의 정을 굳건 하게 해 준다고 하여 정고지 (情固芝) 라고 한다네요...^^*


산부추  (황매산  2013년 10월 5일 촬영)

 

산부추  (황매산  2014년 10월 3일 촬영)


산부추  (황매산 2015년 10월 3일 촬영)




강부추

학명 : Allium longistylum Baker

분류 :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8 ~ 9월,  홍자색


강부추  (한탄강 직탕폭포  2015년 9월29일 촬영)



강부추  (한탄강 송대소  2015년 9월 29일 촬영)


강부추 (한탄강 송대소  2016년 10월 5일 촬영)






















부추


학명  :  Allium tuberosum Rottler ex Spreng.

  • 백합과(Liliaceae)
  • 부추속(Allium)
  • 솔 정구지
  • 다년초.
  • 잎은 서며 선형이고 육질이며 길이 30cm내외로 녹색을 띤다.                           
  • 7-8월에 잎사이에서 길이 30-40㎝의 편평한 화경(花莖)이 나와 끝에 큰 산형화서가 피는데 곧게 선 가늘고 작은 화경에 촘촘히 모여 반구상을 이룬다. 총포는 막질이며 꽃은 백색이고 지름 6-7mm로서 화병이 길며 화피가 수평으로 퍼진다. 화피열편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6개이다. 수술도 6개이지만 화피보다 약간 짧고 꽃밥은 황색이다.
  • 과실은 삭과로서 도심장형이며 3갈래로 벌어져 6개의 검은색 종자가 나오는데 이것을 구자라고 한다.
  • 크기 : 화경은 높이 30~40cm



    부추  (분당 탄천 구미교 교각  2017년 8월 23일 촬영)




    부추 ( 하남시 고골  2017년 9월 4일 촬영)











    두메부추

    학명 : Allium senescens L.

    분류 : 백합과 부추속 여러해살이풀

    개화시기 : 8 ~ 9월,  적자색

    이명  :  두메달래 설령파                          

  • 잎은 뿌리에서 많이 나오고 길이 20-30cm 폭 2-9cm로서 선형이며 살찐 부추잎같다.
  • 높이가 20-30cm이다.
  • 꽃은 8-9월에 피며 화경(花莖)은 높이 20-35cm로서 단면이 렌즈형에 가깝고 양끝에 좁은 날개가 있다. 꽃은 산형으로 많이 달리며 화서는 지름 3cm이고 소화경은 길이 1cm로서 회청색이며 세로로 날개가 있다. 화피열편은 6개이고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5mm 폭 3mm로서 적자색이다. 수술대는 밑부분이 넓지만 톱니가 없고 수술은 꽃잎보다 길거나 비슷하다.
  • 높이가 20-30cm이다.

  • 두메부추  (물향기수목원  2013년 10월 12일 촬영)







    '야생화도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담  (0) 2015.09.28
    앉은좁쌀풀  (0) 2015.09.27
    구절초  (0) 2015.09.26
    앉은부채  (0) 2015.09.26
    나도송이풀  (0) 2015.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