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Viscum album var. coloratum ( Kom.) Ohwi
분류 : 겨우살이과 겨우살이속 상록기생관목
꽃말 : 강한 인내심
원산지/분포지 :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중국,일본,한국)
서식지 : 전국각지 / 참나무,밤나무,팽나무,물오리나무
크기 : 30 ~ 60 cm
개화시기 : 3 ~ 5월, 황색, 열매 : 10월부터 열린다.
잎 : 잎은가지끝에 대생하고 두껍고 피침형이며 길이는 3-6cm 폭은 6-12mm로서 둔두 원저이고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엽병은 없고 짙은 녹색이며 잎은 두껍고 윤채가 없다
꽃 : 꽃은 이가화로서 가지끝에 맺혀 4월에 피고 정생하며 화경이 없고 황색이며 소포는 술잔 모양이고 화피는 종같으며 4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대가 없다.
줄기 : 기생성 상록수로서 둥지같이 둥글게 자라고 지름이 1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차상(叉狀)으로 2-3개 갈라지며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사이가 3-6cm이고 매끈하다.
"겨우살이"하면 엄동설한을 이겨 겨울을 넘긴다는 월동, 즉 <겨울살이>라는 의미가 있고, 또 죽지 못해 겨우 살아 간다는 뜻이 있다.
겨우살이는 딴 큰 나무 가지에 둥지를 틀어 숙주식물의 줄기에 뿌리를 깊게 박아 수액을 빨아 먹으며 살아가는 반기생식물이다.
겨우살이는 일생동안 흙과 접촉하지 않아도 꽃을 피우고 아름다운 열매를 맺는다. 여름철에는 다른 식물의 그늘에 가려서 햇볕을 받지 못하므로 자라지 않고 있다가 가을이 되어 나뭇잎이 떨어지면 꽃을 피우고 겨울 동안에 구슬처럼 생긴 연한 노란빛의 열매를 주렁주렁 맺는다.
겨우살이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행운을 가져다 주며, 귀신을 내쫓는 등의 신성한 힘이 있는 것으로 여겨온 식물이다. 전 세계가 겨우살이 추출물에 주목하고 있으며, 지금은 2,500여편이 넘는 연구논문들이 발표되어 면역요법중에서 그 안정성을 더해 가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겨우살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은 쓰고 달며 독이 없다. 힘줄,뼈,혈맥,피부를 충실하게 하며 수염과 눈썹을 자라게 한다. 요통 옹종과 쇠붙이에 다친 것을 낫게 한다. 임신중에 하혈하는 것을 멋게하며 안태시키고 몸푼 뒤에 있는 병과 봉루를 낫게 한다'고 되어 있다.
겨우살이 (한계령 2015년 12월 9일 촬영)
겨우살이 (강원도 안반데기 2015년 12월 17일 촬영)
겨우살이 (내장산 2016년 1월 5일 촬영)
겨우살이 (내장산 2017년 11월 9일 촬영)
겨우살이 (중국 해남성 칠선령국제골프장 2018년 1월 30일 촬영)
붉은겨울살이
학명 : Viscum album f. rubroauranticum ( Makino ) Ohwi
분류 : 겨우살이과 겨우살이속 상록기생관목
서식지 : 한라산, 남쪽지방
개화시기 : 4월, 황색
줄기와 잎은 녹색, 열매는 붉은색으로 10월부터 달리기 시작한다.
잎 : 줄기와 잎은 녹색으로 겨울풍경을 아름답게 해 준다. 잎은 대생하고 피침형이며 길이는 3-6cm 폭은 6-12mm로 끝은 둔하고 기부는 둥글고 밑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엽병은 없고 짙은 녹색이며 잎은 두껍고 윤채가 없다.
꽃 : 개화기는 4월로 2가화이며 정생하고 화경이 없으며 황색이며 소포는 술잔 모양이고 화피는 종같으며 4개로 갈라지고 암술머리는 대가 없다.
줄기 : 까치집 모양으로 자라며 녹색이 난다. 가지는 차상(叉狀)으로 갈라지며 둥글고 황록색으로 털이 없으며 마디사이가 3-6cm이고 매끈하다
붉은겨울살이 (내장산 2016년 1월 5일 촬영)
꼬리겨우살이
학명 : Loranthus tanakae Franch. & Sav.
분류 : 겨우살이과 꼬리겨우살이속 상록기생관목
개화시기 : 6월, 녹색 열매 : 9 ~ 10월, 연한 황금색
1996년 산림청, 임업연구원에서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잎 : 잎은 대생하고 주걱 같은 장 타원형으로 길이 2~3.5cm 나비 1~1.5cm이며 끝은 둔하고 밑은 뾰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은 1~4mm이다.
꽃 : 꽃은 꽃대가 없고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6월에 녹색으로 핀다.
줄기 : 가지는 차상으로 갈라지고 짙은 자갈색이며 털이 없고 다소 광택이 나며 월동 후에는 표피가 벗겨진다
겨우살이보다 수십배의 약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참나무, 박달나무, 자작나무과에 둥글고 연한 황금색으로 열매가 달려 밑으로 쳐지며 전초를 상기생이라 한다.
꼬리겨우살이의 효능은 암, 심장질환, 고혈압, 뇌졸증, 산후요통, 동상, 타박상, 동맥경화 등으로 사용되며 민간에서는 항암제로 널리 사용된다고 한다.
꼬리겨우살이 (한계령 2015년 12월 9일 촬영)
꼬리겨우살이 (강원도 안반데기 2015년 12월 17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