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Setaria viridis (L.) P. Beauv. var. viridis
분류 :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꽃말 : 동심, 노여움
원산지/분포지 : 북반구 온대, 한국, 중국, 일본
서식지 : 전국 각지, 경작지 주변, 길가, 들
크기 : 줄기가 20 ~ 70 cm 정도
개화시기 : 7 ~ 8월,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
잎 : 엽초는 털이 있거나 없고 녹색 또는 자주빛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엽설(葉舌)에 길이 1-2mm되는 1줄의 털로 이루어졌다. 엽신은 길이 10-30cm 폭 2-10(15)cm로 표면은 가장자리와 더불어 뒷면보다 더 꺼끄럽다.
꽃 : 7-8월에 피며 원주상으로 밀집된 원추화서는 길이 2-10cm, 지름 4-10m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고 중축에 퍼진 털이 있으며 곧게 서거나 처진다. 소지는 길이 6-8mm로서 퍼지고 가시 같으며 소분수(小分穗)에는 1개의 완전화와 퇴화화가 달리고 소수(小穗)는 길이 2-2.5mm의 타원형으로 끝이 둔하고 1개의 꽃으로 되며 소화경 밑에 길이 4-8mm의 녹색, 황색 또는 자주색 강모(剛毛)가 있다. 첫째 포영은 난형으로서 길이 0.8mm가량이며 3맥이 있고 둘째 포영은 길이 2-2.5mm이며 5맥이 있다. 외영은 소수와 길이가 같으며 5맥이 있고 잔주름과 전점이 있다. 꽃밥은 흑갈색이다.
줄기 : 가늘고 곧게 서며 밑으로부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없으며 녹색 또는 자주빛을 띠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강아지풀 (남한산성 2014년 8월 14일 촬영)
강아지풀 (물안개공원 2016년 9월 9일 촬영)
강아지풀 (분당 탄천 구미교 2017년 8월 23일 촬영)
강아지풀 ( 경북 예천군 용궁면 2015년 12월 12일 촬영)
금강아지풀
학명 : Setaria glauca (L.) P. Beauv.
분류 : 벼과 강아지풀속 한해살이풀
별칭 : 금가라지풀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과 휴경지 및 길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밑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20~80cm 정도까지 자란다. 선형의 잎은 길이 10~25cm, 너비 5~10mm 정도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잎집은 위쪽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7~8월에 개화한다. 수상꽃차례는 길이 3~10cm 정도로 원주형이며 곧추서고 황금색이다. 양성화의 호영은 난형이며 옆주름이 있다. ‘강아지풀’과 달리 잎집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 꽃차례 소수 밑에 황색 또는 황갈색의 강모가 있다.
금강아지풀 (물안개공원 2015년 9월 14일 촬영)
금강아지풀 (물안개공원 2016년 9월 9일 촬영)
금강아지풀 (팔당 물안개공원 2017년 9월 12일 촬영)
금강아지풀 (물안개공원 2019년 9월 28일 촬영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