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Trigonotis peduncularis (Trevir.) Benth. ex Hemsl.
분류 : 지치과 꽃마리속 두해 또는 여러해살이풀
이명 : 꽃다지
꽃말 : 나의 행복, 나를 잊지 마세요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전국 각지의 들이나 밭둑, 길가
개화시기 : 4 ~ 7월
잎 : 잎은 호생하고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양끝이 좁고 길이 1-3cm 폭 6-10mm로서 양면에 짧고 거센 복모가 있으며 둔두 설저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밑부분의 것은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진다.
꽃 : 꽃은 4-7월에 피고 지름 2mm로서 연한 하늘색이며 줄기나 가지끝에 총상화서로 달리고 태엽처럼 풀리면서 자라며 길이 5-20cm로서 밑부분에 흔히 잎이 있다. 소화경은 길이 3-9mm로서 처음에는 비스듬히 위를 향하지만 점차 옆으로 퍼진다. 꽃받침은 5개의 끝이 뾰족한 난형 조각으로 갈라지고 털이 있으며 화관도 5개 조각으로 갈라지고 황색 후부에 5개의 인엽이 있다. 수술은 5개로 짧고 통부 중앙부에 달려 화관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자방은 4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 : 높이 10-30cm이고 줄기는 밑으로부터 가지를 많이 쳐서 총생상태를 이루며 전체에 짧은 복모가 있다
꽃마리와 비슷하나 이보다 약간 꽃이 늦게 피는 식물로 덩굴꽃마리·참꽃마리·좀꽃마리가 있다. 덩굴꽃마리는 곧추서지 않고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좀꽃마리는 꽃의 지름이 6~8㎜로 꽃마리보다 크며, 또한 참꽃마리는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1송이씩 피는 점이 다르다.
꽃마리 ( 천마산 2015년 5월 11일 촬영)
꽃마리 (안양천변 2016년 4월 24일 촬영)
참꽃마리
학명 : Trigonotis radicans var. sericea (Maxim.) H. Hara
분류 : 지치과 꽃마리속 여러해살이풀
잎 : 근엽은 총생 경엽은 호생하고 심상 난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1.5~4cm이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심형이며 엽병은 위로 갈수록 짧아진다
꽃 : 꽃은 5∼7월에 연한 남색으로 피고 상부의 잎짬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꽃이 필 때는 비스듬히 섰다가 다소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은 5열하고 열편은 피침형이며 꽃이 진 뒤 자라 길이 2.5~7mm로 된다. 화관은 5열하고 지름이 7~10mm이며 5개의 수술이 통부에 달린다
줄기 : 줄기는 처음에는 곧추서나 높이 10~15cm 정도 자란 다음 지면을 따라 뻗으며 전체에 압모가 있다
참꽃마리 (천마산 2014년 5월 1일 촬영)
참꽃마리 (국립수목원 2015년 5월 6일 촬영)
참꽃마리 (화악산 2015년 6월 2일 촬영)
참꽃마리 (화악산 2016년 5월 28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