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Primula sieboldii E.Morren
분류 :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꽃말 : 첫사랑, 젊은시절과 고뇌
서식지 : 전국 산지의 계곡 주변, 시냇가, 습지
잎 : 잎은 뿌리에 총생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1-4배 길며 연한 털이 있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4-10cm 나비 3-6cm로서 털이 있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 :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15-40cm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7-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돌기같은 털이 산생한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8-12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 길이의 1/2-2/3이다. 화관은 지름 2-3cm이고 통부는 길이 10-1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파진다.
줄기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풍륜초(風輪草)·취란화·연앵초라고도 한다. 짧은 뿌리줄기가 땅 속에서 옆으로 뻗으며 수염뿌리가 많이 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며 전체에 꼬부라진 털이 많다. 꽃 모양이 마치 앵두와 같다 하여 앵초라는 이름이 붙었다. 유사종으로 잎이 거의 둥근 큰앵초, 높은 산 위에서 자라는 설앵초, 잎이 작고 뒷면에 황색 가루가 붙어 있는 좀설앵초 등이 있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앵초 (속리산 2014년 4월 20일 촬영)
앵초 (운길산 2014년 4월 12일 촬영)
앵초 (국립수목원 2014년 5월 6일 촬영)
앵초 (국립수목원 2016년 4월 29일 촬영)
앵초 (불곡산 2017년 4월 26일 촬영)
앵초 (불곡산 2018년 4월 27일 촬영)
앵초 (불곡산 흰앵초밭 2020년 4월 14일 촬영)
앵초 (불곡산 계곡 2020년 4월 23일 촬영)
설앵초
학명 :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분류 :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잎 : 모든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초장 10cm 정도로 자라며 사각상 난원형이고 엽신이 길다. 잎은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는 것이 있고 얕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잎 뒷면은 은황색 가루로 덮여 있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엽병으로 흘러 좁은 날개로 된다.
꽃 : 꽃은 5-6월에 피며 뿌리에서 자란 긴 화경(花莖) 끝에 10개 정도 산형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꽃이 필때는 길이 1.5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꽃이 진 다음 길어지고 포는 선형이며 밑부분이 넓어져서 다소 부풀고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긴 통꽃으로 되어 있으나 꽃잎은 끝이 다섯 갈래로 깊이 갈라져 있으며 꽃잎마다 다시 얕게 갈라지고 꽃의 하부는 가늘고 길다. 꽃통은 꽃받침에 싸여 있고 꽃모양은 벚꽃과 닮은 데가 있다. 화관은 홍자색이고 지름 10-14mm로서 열편 끝이 파진다.
줄기 : 줄기는 곧게 서고 꽃줄기는 15cm정도의 길이로 곧게 올라온다
설앵초 (한택식물원 2013년 5월 8일 촬영)
흰앵초 (불곡산 2017년 4월 26일 촬영)
학명 : Primula sieboldii f. albiflora Y.N.Lee
- 앵초과(Primulaceae)
- 앵초속(Primula)
- 다년초
- 잎은 뿌리에 총생하며 엽병은 엽신보다 1-4배 길며 연한 털이 있고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4-10cm 나비 3-6cm로서 털이 있고 표면에 주름이 지며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고 열편에 톱니가 있다.
-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 꽃은 4월에 피며 흰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15-40cm로서 털이 있으며 끝에 7-2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고 총포편은 피침형이며 소화경은 길이 2-3cm로서 돌기같은 털이 산생한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길이 8-12mm로서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꽃받침 길이의 1/2-2/3이다. 화관은 지름 2-3cm이고 통부는 길이 10-13mm로서 끝이 5개로 갈라져서 수평으로 퍼지며 끝이 파진다.
- 삭과는 원추상 편구형이고 지름 5mm 정도 된다.
- 화경(花莖)은 높이 15-40cm
흰앵초 (불곡산 2017년 4월 26일 촬영)
흰앵초 (불곡산 2018년 4월 16일 촬영)
흰앵초 (불곡산 2020년 4월 16일 촬영)
큰앵초
학명 : Primula jesoana Miq.
분류 : 앵초과 앵초속 여러해살이풀
잎 : 잎은 근생하며 원신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고 가장자리가 얕게 7~9개로 갈라지며 치아상의 톱니가 있고 길이 4~18cm 폭 6~18cm로서 짧은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30cm이다
꽃 : 꽃은 홍자색으로 통꽃이고 7-8월에 피며 지름 1.5-2.5cm로서 잎 사이에서 엽병의 2배 정도되는 화경(花莖)이 나와 그 끝에 1-4층의 꽃이 달리며 각 층에 5-6개의 꽃이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1-2cm이며 화서 윗부분에 선상의 짧은 털이 있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은 깊게 5갈래이며 화통은 길이 12-14mm이고 수술은 5개로서 화통보다 짧다
줄기 : 전체에 잔털이 있고 원줄기는 없다.
큰앵초 (화악산 2014년 6월 1일 촬영)
큰앵초 (화악산 2015년 6월 2일 촬영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