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 Lindera obtusiloba Blume
분류 : 녹나무과 생강나무속 낙엽활엽관목
꽃말 : 매혹, 수줍음
서식지 : 산지 계곡, 숲속 냇가
원산지 : 아시아
잎 : 잎은 호생하며 길이 5-15cm 나비 4-13cm로서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이며 심장저 또는 원저이다. 윗부분이 3-5개로 갈라지지만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엽병은 길이 1-2cm로 털이 있다. 잎뒷면 맥에 털이 있으며 엽병은 길이 1-2㎝이며 털이 있다.
꽃 : 꽃은 이가화이고 3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황색이며 화경이 없는 산형화서에 많이 달린다. 소화경은 짧으며 털이 있다. 꽃받침잎은 깊게 6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9개 암술은 1개인데 수꽃은 암술이 퇴화하여 있고 암꽃은 수술이 퇴화하여 있다.
줄기 : 높이가 3m에 달하며 수피는 흑회색이고 소지는 황록색이다. 소지와 동아에 털이 없다. 길이 1㎝의 과경이 있다.
온통 잿빛의 삭막한 겨울 숲도 들판에 완연한 봄이 찾아오면 긴 겨우살이를 털고 새봄을 맞을 준비를 한다. 인간 세계에 선각자가 있듯이 나무나라에도 봄이 오고 있음을 가장 먼저 감지하는 생강나무라는 초능력 나무가 있다. 예민한 ‘온도감지 센서’를 꽃눈에 갖추고 있어서다. 생강나무는 숲속의 다른 나무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날 꿈도 안 꾸는 이른 봄, 가장 먼저 샛노란 꽃을 피워 새봄이 왔음을 알려준다.
생강나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조미료로 쓰는 생강과 관련이 깊다. 나뭇잎을 비비거나 가지를 꺾으면 은은한 생강냄새가 난다. 식물이 향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정유(精油)라고 하여 여러 가지 화합물을 가지고 있는 성분 때문이다. 생강나무는 잎에 정유가 가장 많고 다음이 어린 줄기이며, 꽃에는 정유가 거의 없다
산속의 생강나무보다 조금 앞서서, 마을 부근의 빈터나 밭둑에는 얼핏 보아 생강나무 꽃과 너무 닮은 노란 꽃을 피우는 또 다른 봄 나무가 있다. 바로 산수유다. 잎이 피고 나면 두 나무의 차이는 너무도 뚜렷하지만, 꽃만 보아서는 조금 혼란스럽다. 꽃이 피어 있을 때 구별하는 방법은 이렇다. 두 나무 모두 여러 개의 작은 꽃이 모여 핀다. 산수유는 꽃대가 길고 꽃잎과 꽃받침이 합쳐진 화피(花被)가 여섯 장이며, 생강나무는 꽃대가 거의 없다고 해도 될 만큼 짧고 꽃잎도 네 장이다.
생강나무 (구름산 2020년 3월 12일 촬영)
생강나무 ( 구름산 2015년 3월 22일 촬영)
생강나무 (운길산 2016년 3월 26일 촬영)
생강나무 (운길산 2017년 4월 8일 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