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순누정

<한국누정319> 화순 물염정(勿染亭)과 물염적벽 240404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물염로 161 (창랑리)건립시기 : 조선 명종(재위 1545~1567) 때, 현재 해체보수공사 중화순군 향토문화유산답사일자 : 2024년 4월 4일,  맑음   늦은 시간에 애써 찾아간 물염정은 아쉽게도 해체보수공사 중이었다. 공사기간은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11월 11일까지로 되어 있으나, 공사가 중단된 상태에서 진전이 없어 보이니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물염정(勿染亭)은 명승인 '화순적벽'의 상류에 있는 물염적벽을 조망할 수 있는 언덕에 세워진 정자로 화순군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중종(재위 1506~1544)과 명종(재위 1545~1567) 때에 성균관전적 및 구례.풍기군수를 역임했던 물염 송정순(勿染 宋庭筍)이 건립하였.. 더보기
<한국누정318> 화순 환산정(環山亭) 240404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백천로 236-1 (서성리), 서성저수지 내 건립시기 : 1637년, 2010년 중건 화순군 향토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4년 4월 4일, 맑음 환산정은 서성제 위에 섬처럼 떠 있는 정자이다. 1965년 농업용수 확보를 위해 제방을 쌓아 서성제가 만들어졌고, 덕분에 주변이 산이었던 정자는 물 위에 떠 있는 섬이 되었다. 제방에서부터 정자까지 이어지는 나무다리 주변에 왕버들과 벚꽃나무가 어우러져 환상의 세계로 들어가는 느낌을 준다. 환산정(環山亭)은 1637년 백천 류함(百泉 柳涵) 선생이 창건한 정자로 방 1칸의 소박한 초정이었는데, 1896년 중건, 1922년 1차 중수, 1935년 1차 보수, 1958년 2차 보수, 2010년 2차 중수하였다. 공의 휘는 함(涵)이요.. 더보기
<한국누정317> 화순 영벽정(映碧亭) 240404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922-43 (관영리) 건립시기 : 명종 대(1500년 경) 추정, 고종 10년(1873) 중건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문화유산자료 답사일자 : 2024년 4월 4일, 맑음 영벽정은 화순군 능주면 관영리 지석강변 왕버들 군락지가 있는 곳에 있다. 영벽정(映碧亭)은 맑은 지석강물에 투영되어 비치는 연주산의 경치를 운치있게 바라 볼 수 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정자는 1500년경 창건하여 시인묵객들의 풍류의 산실로 사용되었다. 건립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양팽손(1488~1545), 김종직(1431~1492) 등이 쓴 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 명종대나 선조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뒤 인조 10년(1632) 능주목사 정연이 개수하여 당시 아전들의 휴식처.. 더보기
<한국누정316> 화순 임대정(臨對亭) 원림 240404 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상사1길 47 (사평리) 건립시기 : 조선 철종 13년(1862), 1922년 중수 문화재지정 : 명승(2012.4.10지정) 답사일자 : 2024년 4월 4일, 맑음 임대정 원림은 대상부와 대하부로 나누어져 있다. 대 아래쪽에는 두 개의 섬이 있는 연못과 하나의 섬이 있는 연못이 단차를 두고 하나의 곡지를 이루는 지원이 있다. 아래쪽 연못에는 중도가 하나 있는데 위쪽의 연못에 비해 좀 큰편이며, 중도 위에는 배롱나무 3주가 심어져 있어 여름이면 꽃이 장관을 이룬다. 위 연못과 아래 연못 사이에는 수구로 연결되어 있어 물이 아래 연못으로 흘러들어 간다. 임대정(臨對亭)은 16세기 후반 고반(考槃) 남언기(南彦紀)가 조성한 고반원의 수륜대 옛 터에 철종 때 병조참판을 지낸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