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들국화 하면 구절초를 일컫는 것이 보통이다.
이름의 유래는 음력 9월 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구절초라 한다.
줄기의 마디가 단오에는 다섯 중양절에는 아홉 마디가 된다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 혹은 꺽는다는 뜻의 절자를 써서 구절초(九折草)라고 한다.
가을에 뿌리째 캐어서 말려서 약으로 쓴다. 산과 들에 저절로 나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자생지 환경에 따라 꽃의 색깔이나 모양이 조금씩 다른 것들이 있는데, 산구절초, 포천구절초 외 10여종이 있다.
구절초
분류 : 국화과 산국속 여러해살이풀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꽃말 : 어머니의 사랑, 가을 여인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깃 모양으로 잘게 갈라졌고, 포기에는 대부분 잔털이 있다. 식물 전체에서 짙은 국화 향기가 난다.
9~11월에 흰색 혹은 연한 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핀다. 꽃이 피는 시기에는 연한 분홍색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활짝 핀 다음은 대개는 흰색으로 된다.
쑥부쟁이의 꽃잎이 길고 날씬한데 비해 구절초의 꽃잎은 끝이 동글동글하고 크기가 쑥부쟁이 꽃보다 대체로 크다.
산구절초
분류 : 국화과 산국속 여러해살이풀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Herb.) Tzvelev
꽃말 : 모정, 가을 여인
높은 산의 중턱 이상에 있는 풀밭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는 구절초로 바위에서 자라는 것은 바위구절초라 부르기도 한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60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이고, 깃꼴로 가늘게 갈라진다. 갈래는 끝이 뾰족한 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잎 양면에 샘점이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줄기와 가지 끝에서 지름 3-6cm인 머리모양꽃이 1개씩 달리고,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이다
포천구절초
분류 : 국화과 산국속 여러해살이풀
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g.
꽃말 : 어머니의 사랑, 가을 여인
경기도 "포천"에서 처음 발견되어 포천구절초라한다. 변종명의 tenuisectum은 잘게 갈라진다는 뜻으로 잎이 다른 구절초에 비해 많이 갈라지는 것을 나타낸다.
다른 구절초들에 비해 잎이 많이 갈라진다. 꽃은 9-10월에 피며 다소 분홍색이 돌고 꽃대 끝에 1개씩 달린다.
경기도 포천 지역의 한탄강과 운악산 일대 암벽 지대에 생육하고 강원도 동강에도 자생지가 있다.
포천시를 상징하는 시화(市花)로 2003년 시 승격과 함께 시화로 결정되었다
'국내이야기 > 경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국화 이야기(끝) - 산국과 감국 (0) | 2019.10.04 |
---|---|
들국화 이야기(3) - 개미취 (0) | 2019.10.02 |
들국화 이야기(1) - 쑥부쟁이 (0) | 2019.09.28 |
실패한 대관식, 왕송호 빅토리아수련 190911 (0) | 2019.09.14 |
상사화 이야기(2) - 제주상사화,백양꽃 190901 (0) | 2019.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