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령이 600년이나 된다는 배롱나무꽃을 보러 강릉 오죽헌으로 간다.
뒤뜰에 까마귀처럼 까만 대나무가 많아서 오죽헌(烏竹軒)이라 이름 지었다 한다.
오죽헌이라는 이름이 여수에도 있고 화순에도 있어서 강릉 오죽헌이라 부른다.
![](https://blog.kakaocdn.net/dn/FV0Gr/btqGRQBPmDF/CtipokunJEWvZMWDmQcvJ0/img.jpg)
오만 원권 지폐에 신사임당의 초상이 들어가고 오천 원권 지폐에 율곡 초상이 들어가서
세계 최초로 모자가 화폐 인물이 된 것을 기념하는 조형물이다.
많은 사람들이 이곳에서 기념 촬영을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c7xQ8/btqGH15W88L/LLxSFu3Hz9a3fv04OuJsH0/img.jpg)
65세 이상은 무료 입장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NnoJh/btqGJG8bgir/bdZu7BFQ4aQllHdnzQwTxK/img.jpg)
입구부터 중앙 분리대 화단에 배롱나무를 식재하여 줄을 잇고 있다.
배롱나무 사이사이에 줄기가 까만 오죽을 심어 오죽헌에 왔음을 실감나게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R7rPs/btqGRoelLe2/jkBHKbxM22WaYVnKfCsD5K/img.jpg)
율곡 이이의 동상이다.
앞에 있는 '견득사의'는 소학에 나오는 말로 '이득을 보거든 옳은 것인가를 생각하라'는 뜻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kl9lh/btqGHrw1sBR/5i8MVyEfgoRM9SVLJgL8RK/img.jpg)
오죽헌으로 들어가는 자경문과 그 앞의 넓은 광장이다. 광장에는 대형의 태극 문양이 그려져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u0ize/btqGHycb5Qo/PnbaWHxfepfFgKQPdz8Yfk/img.jpg)
오른쪽에 강릉 오죽헌의 설명문과 안내도가 있다.
강릉 오죽헌은 신사임당의 생가이자 율곡 이이가 태어난 곳이다.
우리나라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이며 보물 제165호로 지정되어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b9q00/btqGHqESmUO/siqzedK7NO4qKcrA7mrj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9DOK/btqGRorSGqE/XSS0KobhQhOSorBBZeRXKk/img.jpg)
자경문 주위에 배롱나무가 심어져 있고 꽃이 피어 있다.
아직은 나무가 크지도 않고 개화 상태도 피크는 조금 지난 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dj18IR/btqGNCD4H0Z/UIxdqHIh3dI4SEBLIPt5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Ozaz/btqGK6S42Fd/HTBqrqzDeM3ggAVvrkG9jk/img.jpg)
자경문은 오죽헌의 안과 밖을 가르는 문이다.
율곡이 어머니를 여의고 금강산에 들어갔다가 유학에 뜻을 두고 강릉 외가로 와 외할머니 앞에서 '스스로 경계하는 글' 11조를 지었는데 이를 율곡의 자경문(自警文)이라 한다. 이를 따서 지은 문의 이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tqy7A/btqGNCD4HUG/xYjWSoqbsFcF1knjwhzG1k/img.jpg)
자경문의 안쪽에도 넓은 광장이 있고 오죽헌과 문성사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는 또 하나의 문이 있다.
이 담장에도 여러 그루의 배롱나무가 심어져 지조 높은 선비의 단심 인양 붉은빛이 강렬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DyLvz/btqGIpldbnY/2aK68dnlTIyLHHdOhB7fB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vpJ/btqGJwqPXwj/QUtOzqHCbe1wsl9Rbvi35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dGFO/btqGHavQtXp/BXr7Si54hDsxQDO5bKUV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gqkXd/btqGHrcI0nZ/4o8WCzM5zUd7wK0yXR4W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sLQVE/btqGNCxkwXY/g57XtKigyMFQ1fAINdev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rweh/btqGHx5qWN0/ODKajTZgZ87Fnn6XlyE2i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Js68/btqGK4niVL5/y8nMrvwtHsxzramTDm5S1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odl8G/btqGG85RU4S/2T8OW8rH8eQJb6MC7KzCN0/img.jpg)
율곡 이이의 영정을 모신 사당 문성사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rofVi/btqGQbTLFgX/36cHQfkpg0MC6HJ9nKTEX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x3EA/btqGQdqvNav/4B88eNKKvDspQf0pkUOx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rm8r/btqGIhnt4sl/LKGjD92HFN1RXMAZEpgJM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hbbw/btqGIhuhK0D/E9Jd3yRK4cU7aR7E7qhs7K/img.jpg)
율곡 이이의 영정이다. 이당 김은호 화백이 그린 그림으로 표준 영정으로 선정되었다.
![](https://blog.kakaocdn.net/dn/b2ItCX/btqGNFHFXWd/KWzFPxxcSUt3ltY1DnIlY0/img.jpg)
문성사를 지키는 절개 굳은 씩씩한 소나무 율곡송의 모습이 듬직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0H2K9/btqGJG8bg7I/1P6o9deeqjnq3ap8hVmj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d02Q/btqGJGtzajn/nRKok2S46Nikpe6MZKbvj1/img.jpg)
오늘의 주인공 사임당 배롱나무이다.
600살이 넘는다는데 나무가 그리 크다는 느낌이 없다. 병산서원의 노거수는 380살이라는데 이보다 훨씬 굵고 키도 크다.
나무의 가지 끝을 인공적으로 잘라 주는지 사진으로 보기에 매년 같은 모습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459fm/btqGIp6ATbu/n7J3y46ywysynoOkjTiaN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1Pxln/btqGG1L8c8F/SlyZAYqy7HlTDlSmkwJwT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YXMGn/btqGQdx5WXQ/vnekVRBDkFk2eX9r5MHW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qiU7/btqGHx5qYCd/fzh4PBCQH34hK7aWPGfs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Q14k/btqGJveqUTG/MI97NJonEBiKKChkHVHfzK/img.jpg)
강릉 오죽헌의 주무대이다. 왼쪽 마루방에서 율곡 이이가 여섯 살까지 공부했다는 곳이다.
![](https://blog.kakaocdn.net/dn/29mx8/btqGRQohVUE/bkG0IQlpCxZCka2qolYy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HIOsi/btqGNCKRtao/5DLqXDxDFDqz2lK6kY6N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pQOD/btqGQbzsms2/hEKNUUiFxFNpq7vyEOKf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3Gr7/btqGIh8RwHC/ihKbXjFO5N24gQhKS39kr0/img.jpg)
신사임당이 용꿈을 꾸고 율곡을 낳았다는 곳이다. 신사임당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8hc1z/btqGNCKRtod/O7ffKrKXBJPpHesqBbxu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WbZm/btqGQbTLFbr/9hXmfOm3bz8yztmjmIg74k/img.jpg)
신사임당과 율곡이 직접 가꾸었다고 하는 율곡매이다.
천연기념물 제484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홍매화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uzKjP/btqGK4OowrX/ZcAUGW0j599I06KneJvol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4M2v/btqGK4niV73/kgdkERG5NK9Y9izF7OFv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b8PZx/btqGJGmN0kB/kbxJri4TAVpWlEAZjEMik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IFxN/btqGJGtzacf/HjWTg5bO49omSk4nbU6xr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6ArZW/btqGRoSXoEy/hIMtRJAuer3hYbS7vFMt4K/img.jpg)
오죽헌의 사랑채이다.
기둥의 주련은 추사 김정희의 글씨라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A3so8/btqGJuNjZF8/85W1M9MpFV5kkmbyOkCLI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yMkf/btqGJvlbbwz/k2iOrsF0bx3txf4jVoFn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FEuPn/btqGHrDOZSJ/CMV2QqaZG7lIPdvmumvw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cZWy/btqGG1ehrZE/KKAayRXd33DU9INusCL400/img.jpg)
운담문을 나가면 어제각이 있다.
어제각은 율곡의 저서 '격몽요결'과 어린 시절 사용하던 벼루를 보관하고 있는 전각이다.
임금의 명에 의해 지은 집이라서 어제각이라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1p0eD/btqGNEaP316/MyMa1E69qWsl7rZymMaDV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XEHr/btqGG0sTNDX/KRAN0K9XmLsXEDupLWP8C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opX6K/btqGK4APQ40/7ZrlycKEOOGw7L3oA49x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QQlq/btqGIKCYgwE/0QgqOaOgLW3ei9dWRnfue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eHMXx/btqGHM88Ykz/lh7tKmBtjwKxP35m9IulA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W5Ham/btqGGHmMq0G/LPONDf836i32SxsvOvHlp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Jlyq/btqGIpS5aiu/7qQQsk0dvIWsemgHZWccv1/img.jpg)
오죽헌 관람을 마치고 밖으로 나온다.
여전히 붉은 배롱나무꽃이 오죽헌 전부를 보호하듯이 감싸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dL8lFK/btqGRQPl61M/dBUovuTLzfoSmhZcq3b0c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ZDTcO/btqGH2Kzv6Q/Y2AZzPk6CNKSz6vWCIMMW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UGX8/btqGHqZeejM/nGu3QaWkkS68D53mN3K3Yk/img.jpg)
자경문으로 들어가서 입지문으로 나온다.
입지문(立志門)은 율곡의 자경문(自警文) 제1조 입지(立志)(성인이 되려는 큰 뜻을 가져야 한다)에서 따온 이름이다.
![](https://blog.kakaocdn.net/dn/qsUZf/btqGRR8zrQW/2GQVryUSKlh1cuXkLcJaR1/img.jpg)
오죽헌과 배롱나무꽃은 선비의 지조와 단심이라는 면에서 잘 어울린다는 감명을 받으며 선교장으로 향한다.
'국내이야기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릉여행, 새콤 달콤 매콤, 사천진리물회 200814 (0) | 2020.08.23 |
---|---|
강릉여행, 배롱나무꽃, 선교장과 활래정 200814 (0) | 2020.08.21 |
강릉여행, 강릉 평창 여행 거점, 한화리조트 평창 200812 (0) | 2020.08.18 |
소양강 처녀상과 스카이워크 200220 (0) | 2020.02.23 |
영월여행, 선암마을 한반도지형 191216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