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경포대는 송강 정철이 관동별곡에서 노래한 관동팔경 중에서 다섯 번째이다.
첫 번째가 통천의 총석정, 두 번째가 고성의 청간정, 세 번째가 양양의 낙산사, 네 번째가 고성의 삼일포이다.
그다음 다섯 번째가 강릉 경포대이고, 여섯 번째가 삼척의 죽서루, 일곱 번째가 울진의 망양정, 여덟 번째가 울진의 월송정이다.
![](https://blog.kakaocdn.net/dn/cnM53l/btqGX6kASLP/SGOHWKjGAnsUxeDzy3AS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Zy4Pq/btqGVvFjx6i/ASwuN7nuoKAckiEMzlbB51/img.jpg)
문화재 지정 보물 제2046호로, 1326년(고려 충숙왕 13)에 관동존무사(關東存撫使) 박숙정(朴淑貞)이 현재의 방해정(放海亭) 북쪽에 세웠는데, 1508년(중종 3) 부사 한급(韓汲)이 현 위치로 이건한 후 현재까지 7차에 걸쳐 중수했다.
![](https://blog.kakaocdn.net/dn/sCn5x/btqGUNfdzAT/26Sa16gATFfyukj2W8Ej80/img.jpg)
현재의 경포대 건물은 1745년(조선 영조 21) 부사 조하망(曺夏望)이 세운 것으로서, 낡은 건물은 헐어내고 홍수로 인하여 사천면 진리 앞바다에 떠내려온 아름드리나무로 새로이 지은 것이라고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54RD/btqGZ9vhu7I/KplQz8ejHxEj4465C8C4P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raMzl/btqGK4I7Kd6/koccBKbJJTrr0vNLuKTjKK/img.jpg)
울창한 소나무 숲길을 따라 경포대로 올라가 본다.
![](https://blog.kakaocdn.net/dn/cHzcKB/btqGK3Dr2Fk/uGb5fvwufbM6GUKS22Ge5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USShO/btqGWS1b4F8/r6KXcypifbZl176OpU0UZ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qCrr5/btqGYKO77m1/klwezIfkQZk2uCXbxUYK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N92J/btqGUcsjLzA/m6CEpvEFJk87wQ9ddjJI60/img.jpg)
경포대를 둘러싸고 있는 나무는 벚나무로 벚꽃이 피는 봄에는 더욱 장관일것 같다.
![](https://blog.kakaocdn.net/dn/bsLAjn/btqGRQDhieb/5s1QAZbyKUUt3yg7vNPkC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Fq77e/btqGYLN2nAp/m5aSzJVfwDu1x9NKhcM2VK/img.jpg)
오른쪽 계단을 통해 올라가 본다.
![](https://blog.kakaocdn.net/dn/6uZGP/btqGK3i7SNO/mTnYB2uTBqCZjGhyHQqW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NaOJv/btqGU149H3H/XK8CZDOZK8q8Rka7iYewz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Gao3W/btqGYJ3L55l/SjuAAyDRYkLkkoY7LT71f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lYleS/btqGUd5UJKn/MN7OV0ikytiVpc8Edz2oB1/img.jpg)
현판은 헌종 때 한성부 판윤을 지낸 이익회(李翊會)가 쓴 것이다. 이 밖에도 유한지(兪漢芝)가 쓴 전자체(篆字體)의 현판과 ‘第一江山(제일강산)’이라 쓴 현판이 걸려 있는데, ‘第一江山’이라는 편액은 ‘第一’과 ‘江山’의 필체가 다른 점이 특이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atiJc/btqGTQDpoY4/bNKEVVCEaNBYzqnnLBPLs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ySuPd/btqGTngAVFZ/RAuOAs6K8UlSJQTilaL9l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F9Y9X/btqGU1D51wU/DSnnBX9zAYYjRTEkzqNW7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2jsYC/btqGWTMCGKN/07iiuziHpimazTVzdyBa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7iR68/btqGYLHhj9U/uWazpNJXt9jakHNOYcDRv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DC6Rh/btqGVvL7mUP/3qqhFVt4KcEO86Cuxgkk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FLvF/btqGRoUWzHp/8DtVN7UQYm0o2c1Gvpr3w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Lvrb/btqGNDR3XGL/S8ioebswo2OEfx2ke3uw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uSBMS/btqGTRClIQa/hjjrRuisTKwbPzLLktBcp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5soB/btqGX563MXP/vyFVQhwwIit1XcNTOZNvlk/img.jpg)
숙종의 친서와 이이(李珥)가 지은 시가 있다. 옛사람이 “해 뜨는 이른 아침이나 달 밝은 가을밤에 경포대에 올라 경포호를 굽어보거나 호수 너머 동해의 푸른 바다를 대하면 속세는 간 데 없이 온통 선경이요.”라고 표현한 것처럼, 누각 주위에는 소나무와 상수리나무 등이 알맞게 우거져 운치 있는 경관을 이루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cevbEg/btqGVvsUp4I/BOIVPrRxPZJX3ckskYHPY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cQm2/btqGTmJxfd4/Q3XEQqh4Ed9DdX0ZdGGbG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jIQSN/btqGRRCg31H/H6xi8C7YNtHKd1KwYH82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gb2RS/btqGNCyPrP2/cUVDoJ3MDFK2vV6Cgvobn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FW42L/btqGX3VPHb1/77MaYlkeYc4WGmjLiT2V8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JIbiD/btqGYpYF1OD/h0LOgnikC8ajMHGUOdqNJk/img.jpg)
울진 망양정에 있는 관동팔경 이야기길에 소개된 경포대 (2경으로 소개)
![](https://blog.kakaocdn.net/dn/EEE3P/btrj2AJrJK7/w6lGsCmpwJa9qwKiXW04Q1/img.jpg)
'국내이야기 > 강원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목(裸木), 반계리 은행나무 201105 (0) | 2020.11.11 |
---|---|
관동팔경 6경, 삼척 죽서루 200813 (0) | 2020.08.26 |
강릉여행, 새콤 달콤 매콤, 사천진리물회 200814 (0) | 2020.08.23 |
강릉여행, 배롱나무꽃, 선교장과 활래정 200814 (0) | 2020.08.21 |
강릉여행, 배롱나무꽃, 강릉 오죽헌 200814 (0) | 2020.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