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기린대로 2 (교동)
건립시기 : 조선 태종 4년(1404)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답사일자 : 2023년 11월 5일, 흐림
승암산 기슭 절벽을 깎아 세운 이 누각은 조선 건국에 큰 공을 세운 문신 최담(崔담)이 전주로 낙향하여 태종 4년(1404)에 별장으로 지은 건물이다. 처음에는 그의 호를 따서 월당루라 했으나, 여러 차례 중수하면서 한벽당(寒碧堂)으로 바뀌었다.
한벽당은 남원의 광한루, 무주의 한풍루와 함께 호남의 삼한(三寒)으로 알려져 시인 묵객들이 찾아와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다.
현재 한벽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집으로, 전체가 마루인 구조이다. 표면이 고르지 않은 암반에 맞추어 높낮이가 다른 돌기둥을 사용하였다. 삼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마루 주위에 계자난간만이 둘러져 있어 주변의 경치를 조망하기에 좋다.
![](https://blog.kakaocdn.net/dn/lmSKb/btsAPyVrdtf/08rHVLH5s2M5MPR6gSLiI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IZv1O/btsATeBasgg/A7eScNLEp8vFGIgZPA2u4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T5SoG/btsARW88iBe/C20sjc9kJzBnIBii5ao9L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hwfgj/btsAOQ3mjyW/7l9hVQgpfEp8uWzkAJel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cbN0z/btsATjCoVLX/kZ3kc2XK3qWF6BaLykze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miW0F/btsAPv5uYtg/6B7BLFk6IijN5i1GNNWM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Wbm7K/btsAOKvvQbq/rxZRmzretyas4Y4k55LJ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hF9cK/btsAOTFJCAI/y8elgjJPhybHZKCDRGEvn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jLh5/btsANKbeVpd/1vL59PgqXDRX7ee7G6XR9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Dt0P3/btsATlfUJtl/w3ZvoeQmDMC3v0GdrfY6c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jRvfK/btsAQfONVQ6/ilkI1sz6wqoehxVOsW9l9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mfj0x/btsASoK4TZ1/PZmCWAowf9vrrdWNRRuJyk/img.jpg)
누각 아래로 사시사철 전주천의 맑은 물이 흐르는데, 바위에 부딪쳐 흰 옥처럼 흩어지는 물이 시리도록 차다 하여 <한벽당>이란 이름을 붙였다. 한벽당에는 시인 묵객들이 쉴 새 없이 찾아와 시를 읊고 풍류를 즐겼으며, 길 가던 나그네들도 이곳에서 쉬어가곤 하였다. 한벽당의 풍광에 대해 옛사람들은 옥처럼 맑은 물이 바윗돌에 부딪치며 흩어지는 모습을 벽옥한류(碧玉寒流)라고 표현하였고 한벽당에서 바라보는 전주천의 풍경을 한벽청연(寒碧晴烟)이라 하여 전주 팔경의 하나로 꼽았다. 지금은 한벽당 앞으로 다리와 넓은 도로가 생겨 시끄럽고 옛 풍광이 많이 훼손됐지만 전주천의 아름다운 모습과 탁 트인 시야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dEuNGx/btsAOVjaUAh/gKvXen6ON93HGOcdooAvE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VHCk/btsATgyY5OU/xhnI67fbOeKWJlJiDEFcc0/img.jpg)
한벽당의 옆에는 요월대이라는 현판이 달린 작은 정자가 하나 더 있다. 이 정자의 유래에 대하여는 설명을 해둔 곳이 없어 더 이상 알 수 없었다.
![](https://blog.kakaocdn.net/dn/pFhKD/btsASIoXXhJ/OSCCvzKgwdnuUlyfF29G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6kCbS/btsAStFv5i2/41CIMVcQJlDASVtQbYeU2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dzfZ1/btsARWuv7lQ/2E619HvvNPAdlcNOZ13K81/img.jpg)
돌계단을 내려와 전주천 쪽으로 돌아가며 올려다 본 한벽당의 모습이 아득하다. 앞면에도 또 하나의 현판이 걸려있다.
![](https://blog.kakaocdn.net/dn/TSDNm/btsAOPDnvle/c4tnL5UmcqhGKXjgimh6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Z57b/btsATmME73b/y5v9bT2kYRZkKsKMbmilg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HEj4/btsARVWIlla/EDaMev7mnK9yKcSsKngWc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BIBZ/btsASr8LMgH/GaS8CalP7VHQd955kC3uB0/img.jpg)
환벽당 뒤쪽으로 일제시대 때 건설했다는 굴이 있는데 이름하여 한벽굴이다. 이곳에서 '스물다섯, 스물하나'라는 드라마를 촬영한 후 젊은이들의 인생샷 포토존으로 각광받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HuizM/btsASvXCZt6/SdOBaE4iVjm7xUMXcRWu2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N6uyB/btsAO4G7ej1/KHzgNMEqbVMkY32OaKGYe1/img.jpg)
앞면의 교량 위에서 바라보는 한벽당은 또 다른 얼굴을 보여준다. 한벽당과 요월대가 다정한 부자같이 보인다.
![](https://blog.kakaocdn.net/dn/bfDqXt/btsARhMmm49/3ktWfKsCmf1cAIJRRSifk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pIVof/btsAQcEwXs5/GAt0aJ862KimA6aaXugvs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Z36A/btsAPy2fmcw/3ojICtdMFw6cHqGrM4lGQ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azflc/btsAQASNUnA/M4CHCNF8HXd5zDYZBSgwkk/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70> 무주 서벽정(棲碧亭) 231102 (98) | 2023.12.17 |
---|---|
<한국누정269> 무주 한풍루(寒風樓) (보물) 231102 (101) | 2023.12.14 |
<한국누정268> 전주 추천대(楸川臺) 231105 (76) | 2023.12.04 |
<한국누정267> 전주 오목대(梧木臺) 231105 (98) | 2023.12.01 |
<한국누정265> 남원 광한루(廣寒樓)(보물) 231110 (95) | 2023.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