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설천면 구천동로 1868-30 (두길리)
건립시기 : 조선 고종 23년(1886), 고종 28년(1891) 재건축
문화재지정 : 전북특별자치도 기념물
답사일자 : 2023년 11월 2일, 맑음
서벽정은 무주 구천동 33경 안에 있는 정자이다. 서벽정이라 내비게이션을 치면 수성대 간판 앞에서 더이상 안내를 못한다. 주변 적당한 곳에 주차를 하고 이정표를 따라 약 300m 정도 걸어들어가면 학소대 표지판 위 언덕에 서벽정이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Ksjg7/btsBiuZTCcx/0ySq8Qk7ACrbKySBcN9c5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XTCN/btsBqfUb9H3/jWibG5DpauTjn3OKLfky9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KkJPB/btsBqhqV8OP/OdPthD4MEFaeWYgbMrK9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5bYB/btsBisAYwzP/FdqvLjOkFEZgCQKPOFn2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EnA7T/btsBldvZv6P/NJHtILWYQGH7Qy0UaIbu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xQbfL/btsBitGELHp/jZmu2bLmzub9kTNOjkvKu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KQ5qu/btsBk9mR9pm/gpx7NkdIK0K0DvAaleScwK/img.jpg)
서벽정(棲碧亭)은 유학자 송병선(宋秉璿)이 고종 23년(1886)에 지은 정자이다. 송병선은 조선시대의 대학자인 송시열의 9세손이다. 평생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고종 22년(1885) 무주로 이주하여 후진 양성에 전념했다. 고종 42년(1905)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을 처형할 것 등을 고종에게 강력히 건의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독약을 마시고 자결했다. 사후 고종이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1962년에는 건국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됐다.
정자는 중앙 2칸이 마루이고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왼쪽 방 앞쪽은 누마루처럼 꾸며졌다. 원래의 정자는 불에 타 고종 28년(1891)에 다시 지었고, 현재의 정자는 1971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한 것이다. 한국전쟁 때는 북한군이 머물기도 하였다.
![](https://blog.kakaocdn.net/dn/FHslB/btsBjQujScf/mf12sqIk1exV9ZJlVTpgB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mgHG9/btsBqLeauUb/qftXgKzTo31IXrMWzI4US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jGN8U/btsBjDWi2n0/skCw6kzuNz3awQK25Hnmz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l8fCc/btsBmUiDPej/Rslofm4oY1iIr06CvQmhh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RQ2IB/btsBjCbY6mv/0LKICQrKiPDgpXzA7Ip9m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AHhGn/btsBj6jBCmv/f9G2eXuce4C7fKsQSpBd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sFvZr/btsBjrBAemD/9tC0QHROKCxb5J1GKEBUA0/img.jpg)
이 정자가 있는 지역 일대는 경치가 매우 좋아서 예로부터 많은 선비들이 즐겨 찾았으며, 남송의 학자 주희가 학문을 닦으며 숨어 살았다던 무이구곡을 본떠 무계구곡이라 불렸다. 조선의 유학자들은 무이구곡을 학문적 이상향으로 동경했고, 송병선 역시 이곳의 경관에 매료되어 서벽정을 짓고 청정 자연을 벗삼아 여생을 보내고자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6VtTn/btsBjbTgSjx/z4KODOPs9IIOG78ggN1rA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1OVpt/btsBqg6CDB0/kuNkBejtgPAl8jeAZ0Lyj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wKKa/btsBjsmWuRo/gdVk9r6FuPspvVQoA7iEX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EMcn7/btsBoiKnmID/Au9rFUTNTZeVjivKHAq5gK/img.jpg)
다리 위에 올라서야 일사대의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는데, 다리가 퇴락하여 붕괴 위험이 있어서 출입이 금지되어 일사대의 모습을 볼 수 없음이 아쉽다.
![](https://blog.kakaocdn.net/dn/AcME4/btsBo6QGoTM/MTxjOgWFKPk6wWxUfgZcW0/img.jpg)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272> 진안 수선루(睡仙樓) (보물) 231103 (104) | 2023.12.26 |
---|---|
<한국누정271> 익산 함벽정(涵碧亭) 231105 (96) | 2023.12.23 |
<한국누정269> 무주 한풍루(寒風樓) (보물) 231102 (101) | 2023.12.14 |
<한국누정268> 전주 추천대(楸川臺) 231105 (76) | 2023.12.04 |
<한국누정267> 전주 오목대(梧木臺) 231105 (98) | 2023.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