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봉산면 면앙정로 382-11 (제월리)
건립시기 : 조선 중종 28년(1533), 효종 5년(1654) 재건축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 제6호
답사일자 : 2023년 8월 19일, 맑음
면앙정(俛仰亭)은 면앙정 송순(俛仰亭 宋純, 1493~1582)이 중종 28년(1533)에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에 내려와 지은 정자로, 퇴계 이황을 비롯하여 강호제현들과 학문이나 국사를 논하기도 하였으며, 기대승, 고경명, 임제, 정철 등의 후학을 길러냈던 유서 깊은 곳이다. 조선 중기 문신인 선생은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거쳤으며, 말년에는 학문에 전념하면서 많은 책을 저술하였다.
정자는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이며, 전면과 좌우에 마루를 두고 중앙에는 방을 배치하였다. 골기와 팔작지붕으로 추녀의 각 귀퉁이에는 활주(기둥)가 받치고 있다. 처음의 정자는 선조 30년(1597) 임진왜란으로 파괴되고 효종 5년(1654)에 후손들이 다시 지었다. 면양정은 간소한 양식의 건물이기는 하지만, 역사적 가치가 커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
면앙정은 상수리나무.굴참나무.밤나무 등 숲이 우거진 약간 언덕진 산 위에 있다.
면앙정가비
면앙정가는 송순이 지은 가사문학으로, 면앙정 주변의 아름다운 경치와 대자연 속에서의 풍류생활을 예찬하고 임금의 은혜에 대한 감사를 노래한 작품이다. 이 가사는 정철의 성산별곡에 영향을 미쳤다.
정자 안에는 유명인사들의 글과 시를 쓴 현판이 유난히 많이 걸려 있다.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308> 담양 척서정(滌暑亭) 230819 (110) | 2024.05.28 |
---|---|
<한국누정307> 담양 독수정(獨守亭) 원림 230818 (113) | 2024.05.25 |
<한국누정305> 담양 명옥헌(鳴玉軒) 원림 230818 (109) | 2024.05.19 |
<한국누정304> 담양 송강정(松江亭) 230819 (113) | 2024.05.16 |
<한국누정303> 담양 식영정(息影亭) 일원 230818 (94) | 2024.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