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후산길 103 (산덕리)
건립시기 : 조선 광해군(1600년) 때, 영조 25년(1748) 중수
문화재지정 : 명승(2009.9.18 지정)
답사일자 : 2023년 8월 18일, 맑음
명옥헌(鳴玉軒)은 조선 중기 명곡 오희도(明谷 吳希道, 1583~1623)가 은거했던 망재 인근에 아들 장계 오이정(藏溪 吳以井, 1619~1655)이 조성한 별서로 정자 뒤에 있는 샘물이 울타리를 따라 졸졸 흐르는 소리가 마치 옥구슬이 부딪히고 흩어지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명옥헌이라 명명하였다. 우암 송시열은 그의 제자 오기석(吳祺錫, 1651~1702)을 아끼는 마음에 명옥헌이라 이름짓고 계곡 바위에 '명옥헌계축(鳴玉軒癸丑)'이란 글자를 새겼다.
이후 영조 25년(1748) 오이정의 손자 오대경(吳大經, 1689~1761)이 현감 재직 시절 퇴락한 명옥헌을 중수하였다. 정자의 앞뒤에 네모난 연못을 파고 주위에는 적송과 백일홍 등을 심었다. 정자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이다.
명옥헌 원림은 주위의 산수가 연못에 비치는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조성한 곳으로, 자연을 향유했던 조상들의 지혜가 잘 반영된 원림이자 자연경관이 뛰어난 경승지로, 2009년 9월 18일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전국에서 배롱나무꽃으로 가장 이름난 곳이다.
'한국의누정 > 광주.전라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누정307> 담양 독수정(獨守亭) 원림 230818 (113) | 2024.05.25 |
---|---|
<한국누정306> 담양 면앙정(俛仰亭) 230819 (104) | 2024.05.22 |
<한국누정304> 담양 송강정(松江亭) 230819 (113) | 2024.05.16 |
<한국누정303> 담양 식영정(息影亭) 일원 230818 (94) | 2024.05.13 |
<한국누정302> 담양 소쇄원(瀟灑園) 광풍각(光風閣) 230818 (92)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