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누정/광주.전라도

<한국누정307> 담양 독수정(獨守亭) 원림 230818

소재지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독수정길 33(연천리)
건립시기 : 조선 초(1,390년 전후), 1972년 개축
문화재지정 : 전라남도 기념물
답사일자 : 2023년 8월 18일,  맑음
 
 
 
독수정원림은 고려 공민왕(재위 1351~1374) 때 병부상서를 지낸 서은(瑞隱) 전신민(全新民)이 고려가 망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은거하면서 지었다는 독수정이라는 정자 주위의 숲을 가리킨다. 독수정(獨守亭)이란 이름은 이태백의 시 '이제시하인 독수서산아(夷齊是何人 獨守西山餓)'에서 따온 것으로 은거하며 생활하는 선비의 고결한 뜻을 나타낸 것이다. 전해 내려오는 말에 의하면 전신민은 대나무와 소나무를 심어 수절을 다짐했다고 한다. 또한 독수정의 방향은 북쪽으로 향해있는데, 이는 아침마다 고려의 도읍인 송도(지금의 개성)를 향해 절을 하며 충절을 다짐하기 위함이었다고 한다.
이곳에는 느티나무, 회화나무, 왕버들, 소나무, 참나무, 서어나무 등의 오래된 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독수정 앞뜰에는 자미나무, 매화나무, 살구나무, 산수유나무 등이 심어져 있어 속세를 떠난 느낌을 준다.  독수정원림은 조경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고려시대에 성행했던 산수원림으로서의 기법을 이 지역에 들여오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었던 것으로 여겨지며, 주변의 다른 정자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지금의 독수정은 1972년에 허물고 새로 지은 것이기 때문에 기념물로 지정되지 못하였고, 그 주변의 노거수원림이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뒷면 / 남측
옆면
앞면 / 북측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으로 중앙에 온돌방을 꾸몄다.
 

 

뒷면